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밸브
판막
틀
팬더
팬더곰
판다곰
테
d라이브러리
"
판
"(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아니더라도 항상 성립한다.스도쿠와 9스도쿠는 9와 친숙한 숫자 퍼즐이다. 스도쿠
판
은 9×9의 격자 안에 9개의 3×3격자가 들어 있는 구조다. 규칙은 미리 채워져 있는 몇 개의 숫자를 기준으로 9개의 행과 9개의 열, 그리고 9개의 3×3격자에 각각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한 번씩만 들어가도록 채워야 한다.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교수도 발표 직후인 12월 4일 블로그 글을 통해 울프-사이먼 박사의 논문을 조목조목 비
판
했다. 레드필드 교수는 “저자들은 일반적인 박테리아가 생명을 유지하려면 1~3%의 인이 있어야 하므로 약 0.02%에 불과한 이 박테리아는 인으로 살 수 없다고 밝혔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1~3 ... ...
내셔널 트레져, 보물 사냥꾼의 운명을 좌우하는 암호 어떻게 푸나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고조부는 억울한 누명을벗으며 영화는 마무리된다.알파벳 i와 j를 한 칸에 넣으면?암호
판
이 25칸이므로 26개인 알파벳을 모두 채울 수 없다. 따라서 i와 j(또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알파벳인 q와 z)를 같은 칸에 채워 암호로 사용한다. 암호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i와 j는 특별한 언급 없이 섞어 ... ...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가진 고양이’란 뜻의 고대 프랑스어(chatepelose)에서 유래한 말이다. 애벌레의 털은 작은
판
에서 솟아 나온다. 어떤 애벌레들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으며 골고루 널리 분포하거나 뚜렷하게 정렬돼 있다. 때로는 솟아난 혹에서 털이 자라기도 한다. 이마 양 옆에 있는 홑눈 6개로는 빛만 감지할 수 있기 ...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①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거 아니야?”“선생님, 세르게이 아저씨도 자물쇠가 잠긴 특실에 갈 수 없었어요. 우리가
판
승차권을 가지고 있었잖아요. 그런데 그 아저씨가 그곳에서 쓰러졌다는 건 뭔가 있는 거죠.”의문의 남자, 세르게이의 정체는? 과연 어떤 사건이 벌어진 걸까 ... ...
윙글라이더 F-22 랩터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매우 중요한데, 완성했을 때 만족감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들기도 쉽다. 우드락 재질의
판
에서 도안을 뜯어내고, 순서대로 끼워 넣으면 된다. 디자인도 훌륭하다.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부품을 깔끔하게 가공해 F-22 랩터의 모습을 제대로 구현했다. 완성했다면 운동장으로 나가자. 고무줄을 감는 것 ... ...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다른 논문에서 다룬 적이 있었다. 아이디어는 좋았어도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가 영 딴
판
인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그러다가 조금이라도 성능이 향상된 결과가 나오면 마치 대단한 발견이라도 한양 기뻐했다.여러 번 시행착오를 겪다가 1995년 국제학술대회에 처음으로 필자의 논문이 채택됐다. ... ...
수학과 물리학이 만나 우주 생성 비밀 밝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이론(조·홍 이론)을 미국물리학회에서 발행하는 ‘피지컬 리뷰’ 5월 20일자 온라인
판
에 발표했다.빅뱅이론은 우주가 부피가 0인 한 점에서 거대한 폭발이 일어 생겨났다는 내용으로 이론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스티븐 호킹과 로저 펜로즈가 설명해낸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발표된 ‘조^홍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가 조금씩 줄었다. 그는 또 지름 19cm의 동그란 비누막
판
을 만들어 3년 넘게 터지지 않도록 보관했다. 사실 실험실이 아닌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이렇게 오래 유지시키기 어렵다. 공기 중에 있는 기체가 비눗방울 안에 들어가 비눗방울의 압력이 달라지거나 먼지의 영향으로 ... ...
모든 것이 가능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아니다. 비
판
할 때는 호된 표현을 쓰지만 결국 물리학과 과학에 대한 애정에서 나온 비
판
이다.“첫눈에 이것(복소수가 사용된 입자파동식)은 물리학에게는 망한 설명으로 보인다. 관찰할 수 없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 얼마나 슬프고 얼마나 쓸모 없는 일인가. 물리학은 이제 끝난 것처럼 보인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