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구분"(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는 재미와 즐기는 재미가 있는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탐방기기사 l20160201
- 해조류의 종류를 배우고 조류 표본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해조류는 꽃이 피지 않고 포자를 이용하여 번식하며 뿌리, 줄기, 잎의 구분없이 부드럽고 연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식물과 조류는 차이점이 있는데, 1. 식물은 줄기로 지탱하지만 조류는 줄기가 없어 주변의 물을 이용해 지탱합니다.2. 식물은 잎으로 광합성을 하고 수분을 보관하지만 조 ...
- 금요일에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 갔다 왔었어요. 아쿠아리움에서 여러가지 체험을 했는데 정말포스팅 l20160131
- 했는데 정말 특별한 체험들이었어요. 첫번째로는 해조류 표본을 만들었어요. 해조류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처럼 색깔로 종류가 구분되더라고요. 두번째로는 직접 아쿠아리스트가 되어서 물의 염도 측정과 물고기들에게 먹이를 주었어요. 염도 측정은 잉어가 사는 물과 상어와 가오리가 사는 물을 사용했어요. 먹이는 새우와 오징어를 직접 손질해서 상어와 가 ...
- 도심 속 바다, 아쿠아리움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 가다기사 l20160131
- 일명 초록풀~ 해조류로 표본 만들기였습니다. 저희는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해조류를 녹조류, 홍조류, 갈조류로 구분했습니다. 구분한 후에는 표본지에다 조금씩 올려 붙였어요. 그러나 풀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바닷물이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고, 해조류 자체가 끈적거리기 때문이랍니다. 표본을 만드는 사진과 선생님의 설명을 듣는 ...
- 기자단을 신청한지 얼마 안되어서 경기도 박물관 프로그램 수업을 받으러 경기도 박물관으로 갔포스팅 l20160127
- 이 연극을 보고 흉배가 무엇인지 알았다. 흉배는 신하의 옷의 가슴, 등에 있는 그림이다. 그리고 문관, 무관은 각자 다른 그림이라서 구분할 수 있게 했다. 문관은 글 공부를 잘 하는 학자이고 무관은 장군이다. 박물관에 들어갔을 때는 천하 제일 고려청자를 봤다. 다양한 종류가 있었는데 모양이 다르고 새겨진 그림이 달랐다. 고려청자는 왕이나 귀족 ...
- 찾아가는 경기도박물관 수업에 참여하였다. 흉배제도에 대한 연극을 본 후 흉배 티셔츠도 만탐사기록 l20160125
- 보았고 , 고려청자를 만든 상감기법에 대하여 배운 뒤 직접 비누로 상감기법을 체험해보았다. 흉배제도는 단종 이후 문관과 무관을 구분하기 쉽도록 옷에 무늬를 새기는것이다. 모양은 네모 이고 문관은 학을 무관은 호랑이를 새겼다. 왕의 옷에는 모양이 둥글고 금색으로 용을 새겨 넣었다. 이때 발톱이 5개면 왕, 4개면 세자, 3개면 세손 이라고 한다. ...
- 다중 우주론(多重宇宙論)은, 우주가 여러 가지 일어나는 일들과 조건에 의해 통상적으로 갈래탐사기록 l20160110
- 수 없는 것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다중 우주와 평행 우주는 혼용되어 사용하기도 하나, 엄밀하게 구분하자면 둘은 다른 개념이다. 평행 우주는 다중우주의 하위 개념으로, 다중 우주에서 설명하는 수많은 막들은 우리 우주가 나아갈 수 있는 또 다른 경우의 수를 제시하고 있다는 이론이다. 다중 우주를 주장하지만 평행 우주를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3회 파주 장릉을 다녀오다 누구를 위한 반정인가? 굴곡진 삶을 오롯이 닮은 인조 이야기기사 l20151221
- 인조와 인렬왕후가 합장된 능이라 혼유석도 두개로 조성되어 있어요. 왼쪽이 인조의 혼유석 오른쪽이 인렬왕후의 혼유석이라고 구분할 수 있겠죠? 실제로 이곳에 음식을 차리지는 않아요. 영혼들이 놀다가는 상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두개의 혼유석을 받들고 있는 고석의 귀면도 각기 조금씩 상이한 모습을 하고 있어요. 기계로 찍어낸 것이 아니라 석공 ...
- 하루에 두번이나 퀴즈를 내게 되네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왕릉의 입구에 위치한 돌다포스팅 l20151216
- 하루에 두번이나 퀴즈를 내게 되네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왕릉의 입구에 위치한 돌다리로 왕릉의 안과 밖을 구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리 안쪽은 왕의 혼령이 사는 곳을 의미합니다. 금천이란 속세의 공간인 성역의 경계가 되는 작은 시내를 말하는데요, 여기에 놓인 다리를 말합니다. 이곳을 지나면 곧장 홍살문으로 이어진답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다녀오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HVEM): 원자구조를 3차원으로 구현하는 수리수리 마하수리기사 l20151214
- 됩니다. 총 4개의 시료를 금속막대 끝에 장착할 수 있는데 특수제작된 저 그리드의 크기는 불과 3mm에 불과해요. 우리 눈으로는 언뜻 구분할 수 없을 정도죠. 너무나 신기해서 입을 다물 수가 없었어요. 게다가 저 금속막대기 하나가 4천만원이 넘는다고 하니 그 속에 엄청난 기술이 녹아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어요. 그러나 아쉽게도 현재까지 국내 ...
- 코셈을 다녀오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들여다보는 본 나노의 창: 작지만 큰 세상기사 l20151209
- 이런 식으로 전자현미경은 크게 투과전자현미경(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과 주사전자현미경(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TEM은 전자가 시료를 통과하여 분석하는 것이지만, SEM의 경우는 시료의 표면에 전자파를 주사하여 시료 표면의 정보를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