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83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 위성 '유로파' 해저화산 활동 있을만큼 내부 뜨겁다
연합뉴스
l
2021.05.28
변화해 왔는지도 분석했다. 유로파에 해저 화산이 존재한다면 지구의 심해 해저에서
미생물
에 '연료'를 공급하는 열수구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구에서는 바닷물이 뜨거운 용암과 만나면서 화학에너지를 제공하는데 햇빛이 들지 않는 심해에서는 이 화학에너지가 빛 대신 ... ...
서울과 뉴욕 같은 도시들은 각각 고유한
미생물
이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8
서울 강남역 인근.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16년 6월의 어느 날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에 면봉을 손에 든 사람들이 나타났다. 강남역은 한국에서 가 ... 낳을 수 있다”며 “
미생물
DNA로 분석한 만큼 인체와 환경에 주는 영향은 살아있는
미생물
연구에서 보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2013년 미국 FDA에서 승인이 났고 우리나라에서도 2016년 도입돼 실행되고 있다. 대변
미생물
총이식을 넘어서는 발상의 전환으로 개발한 항문을 통한 산소 액체 장호흡(l-EVA)은 의료현장에 적용하기 쉽고 안전해 보인다. 일정 시간 주기로 액체를 바꿔주는 시스템을 갖춘 장비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언론 왜곡으로 잊혀진 페니실린 탄생의 진짜 주역들
2021.05.20
사용했던 폐렴구균과 관련된 연구를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듀보스는 토양
미생물
에서 폐렴구균의 다당류 코팅을 벗기는 물질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 물질이 최초의 항생제인 그라미시딘이다. 그리고 바로 이 듀보스의 연구결과를 알게 된 플로리와 체인은 자신들의 페니실린 연구에 ... ...
1000년 전 ‘똥’이 지금 ‘똥’보다 훌륭…장내
미생물
38%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부활시킬 방법을 찾고 있다“며 “실험실에서 고대
미생물
을 배양할 수 있다면
미생물
의 생리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고대 분변 연구에 관한 최초의 윤리 선언문도 포함됐다. 미국에서는 배설물 화석이 인간 유해로 간주되지 않아 연구윤리에 대한 ... ...
"화성서
미생물
발견돼도 토착 아닌 지구서 옮겨간 것일 수도"
연합뉴스
l
2021.05.13
우주비행사 몸 안팎에 사는
미생물
도 함께 화성에 가는 것이 불가피하다면서, 이들
미생물
이 화성의 극한 환경에 적응하고 변하게 되는데 이를 분석해 새로운 자외선차단제나 암 억제 신약 개발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 ...
동물이 필수 아미노산 부족하면 선호 식성으로 바뀌는 원리 밝혀
연합뉴스
l
2021.05.07
밝혔다"며 "초파리뿐만 아니라 사람을 포함한 척추동물에서도 같은 경로를 통해 장내
미생물
이 동물의 식성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서성배 교수는 "동물의 비정상적인 섭식 행동으로 인한 비만이나 당뇨 등 대사질환을 치료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 ...
이상엽 KAIST 특훈교수·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한국인 최초 英 왕립학회 회원 선정(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김 교수는 RNA 분야 세계적 석학으로 꼽힌다. 서울대
미생물
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미생물
학 석사, 영국 옥스퍼드대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8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에 쓰인 전령RNA(mRNA)의 분해를 막는 ‘혼합 꼬리’를 발견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 ...
김빛내리 IBS 단장, 한국인 최초로 영국 왕립학회 회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RNA 분야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김 단장은 서울대
미생물
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미생물
학 석사, 영국 옥스퍼드대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에 쓰인 전령RNA(mRNA)의 분해를 막는 ‘혼합 꼬리’를 2018년 발견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 ...
[강석기의 과학카페]ATCG가 아니라 ZTCG로 이뤄진 바이러스
2021.05.04
A 대신 Z를 쓰는 게놈을 지니고 있는 것일까. ○ 박테리아 방어체계 무력화 지상의
미생물
체인 남조류(시아노박테리아). 우주론과 입자물리학회지 제공 먼저 박테리아의 방어에 대한 대응일 수 있다. 박테리아는 DNA 가닥의 특정 염기를 인식해 자르는 ‘제한효소’로 침투한 바이러스의 게놈을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