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뉴스
"
백
"(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완벽한 차를 마시기 위한 과학적 방법
2018.10.04
하지만 우유를 언제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유 단
백
질이 뜨거운 물과 만나 덩어리가 생기거나 맛을 변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영국왕립화학협회에 따르면, 컵에 우유를 먼저 넣고 차를 따른 뒤 잘 저어서 섞어주길 권합니다. 설탕이나 꿀, 또한 선택사항입니다. 약간의 ... ...
[여기에 과학]대형 고양이과 포유류에 미래는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22
있는 것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 이 동물들을 사살하는 행위도 늘어날 것입니다. 위키
백
과에서 퓨마를 검색하면, ‘성질이 온순해 사람을 습격하는 일이 없다’고 나오는데요. 실제로 퓨마를 현실에서 마주쳤을 때, 이 설명에 따라 의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지는 사실 저로선 확신이 생기지 ... ...
미국 혈통 붉은불개미 동북아로 확산 중…한국계 잡종도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19
아닌 내륙 지방에서 처음 발견됐다. 지금까지 총 7차례의 붉은불개미가 확인됐다. 수
백
마리이상의 개체가 동시에 확인된 사례만 이미 5번이며 그 중 2번은 여왕개미도 직접 확인됐다. 인간의 감시망을 피한 붉은불개미가 일부 지역에서 이미 정착하고 있을 가능성도 결코 배제할 순 없는 상황이다. ... ...
초음파로 뇌졸중 후유증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0
바이오닉스연구단 김형민 박사와
백
홍채 연구원이 뇌졸중 쥐에 초음파 자극을 통해 경과를 확인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국 신경재활학회에 따르면 전 세계 뇌졸중 환자는 1500만 명에 달한다. 이 중 치료가 가능한 경우는 3분의 1 정도. 3분의 1은 사망에 이르며 나머지 3분의 1도 영구적 ... ...
[세계수학자대회 On Air] 여기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입니다!
수학동아
l
2018.09.07
이곳에서 수학자들이 간단히 요기하며 연구 아이디어를 공유하기도 합니다. 맛은
백
◯◯ 선생님의 조언이 필요 없을 정도였습니다. 간이 좀 쎄지만요. 푸드트럭이 개막식, 기조 강연이 열리는 건물과 본관의 길목에 있어 이곳에 앉아 있으면 여러 수학자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필즈상 ... ...
4.5미터 대형 심해 오징어
팝뉴스
l
2018.09.03
길이가 무려 4.5미터에 달한다. 승용차 크기인 것이다. 우리가 자주 먹는 오징어의 수
백
배에 달하는 크기다. 심해에는 이보다 훨씬 더 큰 오징어들이 살고 있다. 2015년에는 7미터 크기의 오징어가 뉴질랜드에 해변에 밀려온 적이 있다. 또 최대 기록은 12미터였으니 위의 대형 오징어는 아직도 ... ...
울산과기원 학부 출신 첫 교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소녀’로 불리던 미국 알리아 사버 교수가 2008년 건국대 교수로 임용된 바 있다.
백
교수는 “현실을 직접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하면서 늘 자부심을 느껴왔다”며 “새로운 도전을 마주하는데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 ...
2021년 발사 한국형발사체 새 이름은 ‘누리’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발사체로 온 우주를 누비고 미래 발전을 누리길 희망하는 마음을 담았다”고 맑혔다.
백
씨는 7일 과기정통부장관상과 함께 소정의 상금을 받을 예정이다. 한국형발사체 누리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인 600~800km 상공에 쏘아 올릴 수 있는 3단형 우주발사체다. 130여 기관이 참여해 2021년 ... ...
과기계 또 인사 잡음…
백
경희 과기자문위 위원 돌연 사퇴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현미경 사진이 조작됐다는 사실이 2013년 드러나
백
교수가 논문을 자진 철회했다. 당시
백
교수는 “학생들의 실험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다”며 “교신저자로서 책임을 진다”며 해명한 바 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과학계 기관장급 인사 임명 과정에 대해 정부의 검증이 부실한 것이 아니냐는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중성자계측기 개발 MOA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1일에는 팀 허바드 영국 킹스컬리지런던 교수가 ‘10만 게놈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하고
백
종 UNIST 교수가 ‘게놈 코리아 프로젝트’의 추진 현황을 발표하는 등 국내외 연사들의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9월 6일 서울 강남 아모리스 컨벤션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