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산출
제조
출산
저작
연출
출생
뉴스
"
생산
"(으)로 총 6,7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천연물의 생합성 경로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중 최고 성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규 교수는 "천연물 기반 의약품을 대량으로
생산
하기 위한 합성생물학 연구 등에 활용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 doi.org/10.1111/nph.2001 ... ...
누리호 2차 발사로 우주 간 '원자력전지'·'안테나' 기술 합격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우주 검증 결과 출력 감소나 부품 고장 없이 약 120밀리와트(mW)의 전력을 지속해
생산
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계 세 번째 성과로 극한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열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기술을 마련했다 의미가 크다. 케스피온이 개발한 S대역 안테나는 위성체 ... ...
인구 10% 겪는 자가면역질환 제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전달하거나 후속 대사를 변화시켜 면역기능을 조절한다. 이때 대사물질은 내부에서
생산
되기도 하지만 외부에서 세포로 유입되기도 한다. 류신은 면역계와 체내의 여러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이다. 주로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는 재료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신호전달계에 직접 ... ...
[과기원NOW] 초저전력 전자코, 가스 식별·농도 측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13일 밝혔다. 나노 크기의 히터 기반 반도체 가스 센서를 사용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생산
성을 높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센서즈’에 게재됐다. ■ 포스텍은 한세광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풍제약과 함께 신개념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기반 무릎골관절염 치료제 ... ...
실내 온도 낮추고 빗방울로 전력
생산
하는 '스마트 창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스마트 윈도우는 환경 오염을 해결하고 냉방 에너지를 저감할 뿐 아니라 자가 전력
생산
기술을 통해 기존 배터리 기술의 한계도 극복했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10월호에 실린다. (왼쪽부터) 정영주 서울대 ... ...
"로봇·AI가 일할 때 사람은 쉬어야 할까"…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20일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인간은 위험하고 힘든 환경에서 일하지 않게 된다. 인간의 노동력이 필요한 분야 역시
생산
성과 효율성이 증대된다. 하지만 이것이 곧 안전하고 즐거운 삶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이진원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관장이 ‘메타 휴머노이드 마스크봇’과 '축구하는 로봇'을 소개하고 있다. ... ...
해저면 지하 1.2km 암석에서 찾은 '지구 생명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탄생의 보금자리가 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휘석이 녹는 동안 수소(H2)가
생산
되고 또 암석의 구조가 열수의 흐름과 양을 조절하면서 미생물 활동을 촉진하는 조건이 갖춰진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지점에서 발생한 활생균이 지구의 다양한 생명체로 이어졌을 수 있다"며 지구 생명체 ... ...
[푸드테크 뜬다]⑨ 파스타부터 커스텀 커피까지…주방·외식 생태계 바꾸는 로보틱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최소화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먹거리 산업도 주목됩니다. 식품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생산
하고 조리 및 외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도 각광받습니다. 동아사이언스는 이 모든 것을 현실화하는 ‘푸드테크’를 유형별로 살펴보고 푸드테크의 현주소를 살펴보는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 ...
[동물do감] 개구리가 내뿜는 '강력 접착제' 물 10리터 무게 견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증가하면 접착성 분비물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꼭 접착제를 쓰지 않더라도
생산
할 수 있는 도구를 가지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의 제1저자인 샤브남 자만 벨기에 브뤼셀자유대 생물학부 박사과정생은 "토마토개구리의 점액이 환경 친화적이고 독성이 없는 생체 접착제로 ... ...
탄소중립 위한 SMR 실증, '가상원자로' 플랫폼이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높지만 원자로 냉각에 해수가 필요해 건설 위치가 바닷가로 제한되고 용도가 전력
생산
에 그친다. 차세대 원자로인 SMR은 대형 원전보다 출력 규모가 작지만 안전성이 높고 설치·운용이 용이해 운송수단이나 우주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단이 개발에 본격 착수한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