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향
사운드
음파
음성
음
목소리
말
뉴스
"
소리
"(으)로 총 2,000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종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북한에도 산다…충남·전북에선 신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Dryophytes flaviventris)’라는 이름이 붙었다. 장 교수는 “유전적 차이도 뚜렷하고, 울음
소리
도 수원청개구리에 비해 묵직하고 길다”며 “배에 뚜렷한 노란색도 특징”이라고 말했다. 서식지는 수원청개구리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종은 약 100만 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됐다. 중국에는 ... ...
[인간·공감·AI]④ 눈에 안 띄는 교통 표지판 AI로 퇴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훨씬 현존감이 뛰어났다. 덜컹거리는 과속방지턱을 만나자 좌석도 덜컹거리며 움직였고
소리
까지 생생했다. 연구원이 운전중 고개를 좌우로 살피자 주변 건물과 나무가 실제 운전자가 보듯 펼쳐졌다. 마지막으로 ‘정지’ 표지판을 보고 운전을 멈췄다. 빨간 표지판은 초록 빛이 무성한 가로수 ... ...
[잠깐과학]왜 대중음악의 곡 길이는 대부분 4분 안팎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6.20
레코드판을 올리고 바늘을 얹으면, 레코드판이 돌면서 바늘이
소리
골을 따라간다. 이때,
소리
골이 파인 형태에 따라 바늘이 미세하게 진동하고, 이 신호를 확대하면 음악이 나온다. 레코드판은 1887년, 독일 출신의 미국 발명가 에밀 베를리너가 처음 만들었다. 초기의 레코드판을 ‘SP’라고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반달가슴곰 세 마리가 함께 살게 된 사연
2020.06.13
특히 밥을 먹을 땐 “나 여기 있으니 존중해 줘”라고 말하듯 ‘똑똑똑’ 하는 특유의
소리
를 내며 서로의 위치를 알렸다. 간혹 권투를 하듯 앞발로 힘겨루기를 하는 모습이 관찰됐지만 5~10초 내외였고, 상처를 낼 정도는 아니었다. 이후 시간을 점차 늘려나가며 한 달이 지나자, 서로에게 익숙해진 ... ...
방역당국이 걱정하는 부정적 상황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다수 사람이 모여있음에도 예컨대 탁구장 같은 경우는 시합 중 기합을 넣는다거나 큰
소리
로 떠들게 되면서 침방울이 많이 튀기는 상황이 나왔을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지 않나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리치웨이와 같은 모임에선 ... ...
"'K-방역' 위협받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미래를 잃게 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미국의
소리
(VOA)’ 방송도 11일 “정은경 본부장이 국가가 규제 완화를 시작한 후 감염병 연결고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며 “정부 관리들은 경제에 해를 끼칠 우려 때문에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 ...
"1억년 전 공룡 안킬로사우루스, 저주파 듣고 뇌 냉각구조 갖춰"
연합뉴스
l
2020.06.08
뛰어난 청력을 가졌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 공룡은 내이구조 분석 결과 300∼3천㎐의
소리
를 들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악어가 들을 수 있는 주파수대와 같다. 뇌의 크기는 매우 작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쿠즈민 연구원은 "안킬로사우루스의 뇌 무게는 현재 동물들을 기준으로 ... ...
무증상 감염자의 에어로졸 전파 가능하다면 2m 거리두기도 위험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5.29
바이러스가 담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팀은 “최근 연구에 따르면 1분간 큰
소리
로 말하면 1000~10만 개의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고 분석됐다”고 소개했다. 특히 증상이 없는 환자는 기침 없이도 말을 하는 과정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담긴 에어로졸이 나와 전파를 유발할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높이는 방법이다. 보청기(인공 달팽이관) 역시 주파수가 다른 전극을 많이 넣을수록
소리
해상도가 높아지지만 장치가 복잡해지고 시술도 어려워지는 게 문제다. 그런데 1990년대 과학자들은 주파수가 다른 두 전극에 흘려보내는 전류의 비율을 달리하면 그 중간 어디쯤의 주파수를 지닌 전극이 ... ...
사슴을 잡아 먹는 왕도마뱀 ‘화제’
팝뉴스
l
2020.05.18
시작한다. 잡아 먹히는 사슴은 아직도 살아 있다. 눈빛이 슬퍼보인다. 가끔 크게 울음
소리
도 낸다. 충격적인 화제의 영상은 인도네시아 코모도 섬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먹고 먹히는 약육강식의 현장은 보는 이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