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뉴스
"
정도
"(으)로 총 13,450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바다에 생명체 있을까"…NASA 최대 행성 탐사선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위성이다. 유로파는 표면 평균 온도가 영하 171℃에 달하는 차가운 천체로 크기는 달의 90%
정도
다. 15~25km 두께의 표면 얼음층 아래에 깊은 바다가 있을 것으로 예상돼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장소 중 하나로 꼽힌다. 유로파 클리퍼는 얼음층 아래 바다를 조사하기 위해 자력계와 중력 ... ...
전기차 '3분 20초' 만에 충전하는 케이블 냉각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19일 공개됐다. 전기차는 급속 충전 기능을 활용해도 완충까지 30분 이상 걸린다. 수분
정도
의 내연기관 차량의 주유 시간과 비교하면 상당히 긴 시간이다. 충전 시간이 긴 이유는 급속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할 효과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충전 케이블의 절연 피복이 열을 잘 ... ...
열 잘 견디는 산호 개량 가능하지만…"온난화 속도 더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이론적으로 산호의 내열성은 한 세대에 약 1℃씩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정도
로는 예상되는 수온 상승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산호는 군집을 이루는 생물로 세대를 정확하게 나누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산호가 성숙해 다음 세대로 넘어가는 기간은 종에 따라 수년에서 ... ...
의료영상까지 휩쓴 AI…국내 솔루션에 해외 이목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교수는 "국내 의료 AI 산업은 불과 10년
정도
만에 국제 무대에서 선두그룹을 차지할
정도
로 빠르게 성장했다"며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R&D 투자를 위한 수익 창출 주기가 안정적으로 자리잡아야 하는데, 규제나 제도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준다면 산업 인프라가 훨씬 빠르게 정착할 수 ... ...
[과기원NOW] 포스텍 이동건 학생, 'AI 한국어 능력 평가 경진대회' 금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단백질과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는 APP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규명했다. 이어 CNTN4의 발현
정도
와 종양 감소율이 비례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CNTN4를 억제하는 항체를 개발해 기존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능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 교수는 "신규 타깃인 CNTN4에 대한 연구 결과가 면역학 분야 ... ...
'젓가락 팔'로 회수한 스타십…"상상이 현실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달 이상 시간이 걸렸다. 메카질라를 이용하면 하루에 여러 차례 발사를 시도할 수 있을
정도
로 발사 준비 시간이 단축된다. 또 로켓을 새로 만드는 비용이 절감돼 회사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로켓은 스타링크 위성을 한꺼번에 더 많이 쏘아 올리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 ...
인공지능 이용해 신종 RNA 바이러스 7만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캐나다 계산 바이러스학자인 아르템 바바이안은 "바이러스 수는 끝이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
로 많다"면서 "바이러스를 많이 알수록 원인을 알 수 없는 질병을 보다 잘 치료하고 설명할 수 있다"고 1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를 통해 설명했다. 특히 RNA 바이러스를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다. RNA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단백질 구조 예측 넘어 '새 단백질' 설계까지
2024.10.13
받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
로, 단백질 구조 연구와 노벨상은 깊은 연관이 있다. X선 결정법을 이용해 최초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한 존 켄드루와 막스 페루츠는 1962년에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단백질 3차원 구조를 결정하는 NMR ... ...
"연구책임자는 치어리더"…제자가 말하는 베이커 교수의 이유 있는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단백질 구조를 해독해 로제타폴드는 2021년 사이언스의 ‘최고의 연구 성과’로 선정될
정도
로 획기적인 결과였다. 베이커 교수의 제자들은 이같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베이커랩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였기에 나올 수 있었던 성과라고 강조했다. 베이커랩의 문화는 한국에서도 하나 둘 꽃피울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 본지 20년 그래핀, 잠재력 무궁무진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비해 10배 이상 좋다. 구조적으로도 굉장히 안정적이다. 면적의 20%를 늘려도 끄떡 없을
정도
로 신축성도 좋다. 더구나 이렇게 구부리거나 늘려도 전기 전도성이 사라지지 않는다. 이같은 특성 때문에 당시 그래핀은 새로운 반도체 소자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으며 과학계에 스타로 떠올랐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