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뉴스
"
컴퓨터
"(으)로 총 4,442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 유인하기 위해 화려한 꽃 피운 식물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3.16
그리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초의 꽃이 나타났던 중생대 시기, 꿀벌이 보는 시야를
컴퓨터
모의실험으로 재현했어요. 그 결과 연구팀은 꿀벌이 수분한 식물 꽃잎의 색깔이 주변 환경에 비해 꿀벌의 눈에 잘 띄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꽃이 꿀벌에게 더 강한 시각적 신호를 보낸 거죠. ... ...
[과기원NOW] KAIST, AI가 알아서 업데이트하는 선택 알고리즘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개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에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AI 기술을 적용하면서
컴퓨터
에 입력한 데이터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빠르게 예측해 시간과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한 내용을 담았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장성연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곽상규 고려대 ... ...
병원‧기계 따라 다른 'MRI‧CT 지방간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형태로 유화 표준물질을 적용하고 있다. KRISS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기공명영상(MRI)과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한 체내 지방 측정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표준물질을 개발했다. 의료영상기기의 진단 신뢰성을 향상하고 신약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 ...
꽃 피우는 식물, 개미 멸종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않았다"고 짚으며 개미 화석 약 2만 4000개체와 신생물학적 데이터 약 1만4000개를
컴퓨터
통계로 분석해 시간과 기후 변화에 따른 개미의 종 변화를 파악했다. 신생물학은 고생물학과 달리 멸종하지 않은 유기체를 다루는 생물학 분야다. 그 결과 원시 개미와 현대 개미는 약 2000만년 동안 공존했다. ... ...
'두개골 타투' 전자회로, 뇌·
컴퓨터
연결 새 패러다임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쥐 두개골 곡면을 따라 새겨졌다. 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문신처럼 얇은 전자회로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구현했다. 천진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연세대 특훈교수), 박장웅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정현호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 및 장진우 교수 연구팀과 ... ...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학자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박 연구원은 “챗GPT로 영상을 만드는 것과 다르게 AI로 단백질을 디자인한다고 해도
컴퓨터
안에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단백질로 만들려면 대규모의 실험이 오랫동안 진행돼야 한다”고 했다. 물론 걱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훗날 AI를 이용해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이 빨라지고 ... ...
양자
컴퓨터
로 양자 자성체 극단 특성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00배 이상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특성이다. 연구를 주도한 안 교수는 "이번 연구로 양자
컴퓨터
를 이용하는 물성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재욱 KAIST 물리학과 교수. KAIST ... ...
[특별기고] 55년 전 성공한 달 착륙, 왜 번번이 실패할까
2024.03.10
있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컴퓨터
로도 달 착륙이 가능했다. 그런데 백만 배나 빠른
컴퓨터
가 상용화된 2024년에 왜 러시아는 달 착륙을 실패했을까.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기술이 없기 때문이다.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어리둥절할 것이다. 50년 전에 이미 달 탐사를 ... ...
북극곰 어쩌나…10년 내 '빙하 없는 북극'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리뷰 지구 & 환경’에 6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해빙 예측에 관한 기존 문헌과
컴퓨터
기후모델로 도출한 해빙 범위 데이터를 분석해 북극의 미래가 어떻게 변화할지 평가했다. 예측 결과 선행 연구자들이 제시한 해빙 시점보다 10년 이상 빨리 얼음이 완벽하게 녹는 날이 찾아오는 것으로 ... ...
SSD 디스크조각모음 필요?...국내 연구진, 오랜 논란 종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종결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2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서 열린
컴퓨터
스토리지 분야 학술대회 '유즈닉스 패스트'에서 발표했다. 연구 성과는 '최고 논문 상'을 수상했다. 하드디스크가 주로 활용되던 시기 조각나서 저장된 파일은 디스크에서 기계적으로 조각들을 찾아서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