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143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료 표적 없는 비흡연 폐암 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2
‘동중원소표지법’을 이용했다. 이를 통해 기존 단백질 분석에 필요한 양의 10%인
100
μg의 단백질만으로도 시료 당 평균 9000여 종의 단백질과 5000여 종의 인산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STK11’과 ‘ERBB2’ 두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비흡연 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다수 관찰됐다. ... ...
전파 교란 위험 태양 폭풍…오로라로 밤하늘 수놓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2
발생한다. 태양 흑점의 수는 약 11.2년을 주기로 늘어났다가 줄어드는데 이 주기마다 평균
100
회 정도의 심각한 지자기 폭풍이 일어난다. 코로나 물질이 지구에 도달하면 일반적으로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미쳐 전파 교란이나 인공위성 운영 장애 등이 발생한다. G5 등급의 지자기 폭풍은 지구에서 ... ...
딥페이크 등 생성형AI에 목줄 거는 AI
과학동아
l
2024.05.11
이미지 생성형AI 스테이블 디퓨전을 실제로 오염시키는 실험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단
100
장의 독약 이미지로도 생성형AI를 오염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죠. 글레이즈/나이트셰이드 팀은 현재 두 프로그램을 무료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나이트셰이드가 생성형AI를 독살한다면 AI 기업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죽음의 공포가 낯선 것 배척하게 만든다
2024.05.11
줄이고 운동을 하는 것이 훨씬 유익할 것 같다. 차이점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면 나와
100
% 동일한 인간이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모두가 혼자인 섬에 갇혀 버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인간은 결국 다 거기서 거기라는 말처럼 인간으로서 가지는 공통점 또한 적지 않다. 우리는 누구나 다 ... ...
[주말N수학] 걷다가 새똥 맞을 확률은
수학동아
l
2024.05.11
똥의 수는 다음과 같다. 수학동아 제공 따라서 수직 면적 0.1m2인 사람이 서울 시내
100
m2를 2시간 동안 돌아다닐 때 비둘기 똥에 맞을 확률은 1-(1- a/A)N=1-(1-0.1/
100
)12=0.01193, 약 1.2%다. 2023년 기준 서울시 전체 인구가 약 939만 명이니 약 11만 2000명이 길을 걷다 비둘기 똥에 맞을 수 있다. 생각보다 ... ...
[과기원NOW] GIST-서울대, 메모리용 고성능 강유전체 확보 위한 공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제어 및 결정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메커니즘을 활용하면 기존보다
100
도 낮은 온도에서 강유전체 산화물을 확보할 수 있다. 강유전체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전기분극하는 물질이다. 고성능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과기원NOW] 포스텍, 기존 음향 메타렌즈 한계 극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왼쪽부터 이번 연구에 참여한 노준석 포스텍 교수와 이동우, 오범석 포스텍 박사.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 ... 폐기물 중 일산화탄소 전환에 주로 쓰이는 효소로 폐기물 가스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100
% 정화할 수 있다 ... ...
국내 연구진, 양자점 레이저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를 이용해 갈륨비소(GaAs) 기판 위에서 광통신용 1.3㎛(마이크로미터·
100
만분의 1m) 파장대역에서 활용 가능한 양자점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양자점이란 나노 크기의 아주 작은 반도체를 가리킨다. 크기에 따라 빛의 파장이 달라지는 특징이 있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 ...
"베토벤의 청각 장애 원인은 납 중독"
2024.05.07
분석 결과 베토벤의 머리카락 묶음 중 하나에는 머리카락 1g당 258μg(마이크로그램·
100
만분의 1g)의 납이 함유돼 있었고 또 다른 묶음에는 380μg의 납이 함유돼 있었다. 머리카락에 함유된 납의 정상 수치는 1g당 4μg 미만이다. 다른 중금속도 확인됐다. 비소가 정상 수치의 13배, 수은은 정상 수치의 ... ...
어르신 일상 대화 분석으로 치매 고위험군 조기 선별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현재까지 개발된 연구결과를 활용해 경기 안산시 상록구노인복지관을 포함한 노인 약
100
명을 대상으로 실증을 진행 중이다. 경도인지장애 환자 6명과 의심 대상자 7명을 선별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 8월까지 150명을 대상으로 추가 실증을 진행해 안산시 거주 노인에 대한 헬스케어 지원 및 기술을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