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대
university
스페셜
"
대학교
"(으)로 총 760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광의 햇살과 바람으로 빚은 ‘국민 명품’ 법성포 굴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7
바꾸기도 했다. 그러나 여러 연구조사 끝에 굴비는 명예를 회복할 수 있었다. 전남
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과 김지열 교수 연구팀이 1994년부터 5년에 걸쳐 원전 주변의 동물에 대한 염색체 분석으로 방사능 유출이 전혀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2011년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에는 ... ...
에너지의 미래, 결국 사람이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오른쪽의 콘크리트 외벽까지 단계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 AECL 주한규 서울
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내용을 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R-7 안전기준을 명시적으로 적용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설계기준 외 심각한 사고가 나더라도 원자로를 ... ...
권달관 전국원자력관련학과 교수연합회 회장 인터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실습 모습. 주요 방사선 관련 학과에서 방사선카운슬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신흥
대학교
방사선 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사람이나 관련 분야를 희망하거나 종사중인 사람에게는 새로운 직업으로서 주목 받을만할 것 같습니다. 일자리로서 방사선 카운슬러의 전망은 어떤가요? ... ...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
IBS
l
2015.03.30
다 관여를 했습니다. 그사이 연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나 연구단 본팀이 있는 서울
대학교
를 오가며 해왔죠.” 이들은 독일에서 연구 활동을 했음에도 한국인이라는 것 외에는 서로에 대해 잘 몰랐던 과학자들이었지만, 같은 꿈을 찾아 어려운 한국행을 결정했고 이곳에서 뭉쳤다. 이렇게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다루는 학문이 ‘후성유전학’인데, 복제 동물도 이 이론에 적용된다는 것이다. 목포
대학교
허윤미 교수는 “같은 수정란에서 시작된 쌍둥이와 달리 복제 동물은 이미 성장해서 유전적으로 변화가 생긴 동물의 세포를 배양한 것이다. 따라서 복제 동물이 자라면서 나타나는 차이가 일란성 쌍둥이의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KISTI
l
2015.02.02
경우 체내 염증도가 높아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고, 을지
대학교
에서는 7시간 이하로 자는 청소년이 그 이상 잠자는 경우보다 자살 생각과 우울한 감정 모두 1.4배 높다는 발표를 했단다. 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하루 평균 5시간 이하를 자는 청소년이 7시간 이상을 자는 ... ...
[Green Lab_현장탐방] 음식물쓰레기에서 자동차연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1.30
과제로 한국화학연구원과 (주)시노펙스, (주)청해 ENV, 대진
대학교
가 함께 진행한다. 프로젝 트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연구는 사람이 먹고 남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바이오가스를 정제해 고순도 메탄가스를 얻는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 내 메탄가스 정제 플랜트 시스템 기술은 어떻게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고 말한다. IBS연구단에서 연구 범위를 확장하다 임 연구원이 학부 졸업 후 서울
대학교
생명과학부 대학원에 입학한 것은 2011년이다. 당시 그는 실험실에서 마이크로RNA(miRNA)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러다 1년 후, 현재 RNA연구단장인 김빛내리 교수가 IBS연구단을 신청하면서 자연스럽게 IBS 연구단에 ... ...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1957년부터 동물을 이용해 시도된 인공 심장 이식술은 꾸준히 발달해 1973년 미국 유타
대학교
연구팀은 인공 심장을 단 송아지를 297일 동안 생존시키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잇단 동물 실험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은 유타대의 윌리엄 도브리스 박사는 세계 최초로 1983년 12월 1일, 사람에게 인공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해 식물원을 갖춘 생태공원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광운
대학교
의 공인성 씨가 제안한 내용은 지역과의 관계에 더욱 초점을 맞추었다. 공 씨는 군부대와 휴양지가 많은 지역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경기도 가평이 대량의 폐기물을 자원화하는 시설을 설치하기에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