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스페셜
"
이름
"(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스펙트럼에서 붉은색의 파장이 길고 파란색이나 보라색의 파장이 짧은 까닭에 붙은
이름
이다. 파장이 길어진 이유는 광원인 시리우스가 지구에 대해 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그 유명한 도플러 효과의 결과이다.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인 크리스티안 도플러(1803~1853)는 1842년 파원의 움직임이 ... ...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이름
은 복사점이 있는 별자리
이름
을 따 지어진다. 유성우를 만든 혜성이나 소행성
이름
과는 관련이 없다. 유성우는 한 방향으로 떨어지지만, 지구에서 보는 사람의 시야 때문에 복사점을 중심으로 여러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다만 날씨 때문에 관측가능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비번역 DNA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1
이 중 세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물질을 만드는 정보를 마음 염기가 5~10% 불과해 이 같은
이름
이 붙여졌다. 하지만 2단계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크 DNA들이 대부분 다 쓸모가 있다고 밝혀졌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수많은 기능 부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올해 3단계 프로젝트의 연구결과가 ... ...
코로나19 확산세 한창인데 바이러스
이름
바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호주바이러스학회는 이달 4일 성명서를 통해 “코로나19가 한창인 2020년은 바이러스 종의
이름
을 변경할 적절한 때가 아니다”라며 분류체계 변경 계획을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마지막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는 안에 대해서도 비판 여론이 높다고 네이처는 전했다. 오늘날의 과학자들은 라틴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인본주의 과학보다 훨씬 겸허하고 인간다운 철학이다. “만약 나의 삶의 신조에 대해
이름
을 붙이라는 요청을 받았다면, 지금 나는 그것을 과학적 인본주의라고 부르고 싶다. 과학적 인본주의 역시 새로운 의미의 사회적 관련성을 지닌 지식을 추구하기 위해 교육의 내용을 대촉적으로 개혁해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는 없었을 것이다. 두 사람은 이번 논문의 공동교신저자로
이름
을 올렸다. 이런 걸 두고 윈윈 효과라고 하는 게 아닐까.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코로나19 바이러스, 미끼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연구팀은 이 입자에 바이러스를 물을 빨아들이듯 담아낸다는 뜻인 ‘나노 스펀지’란
이름
을 붙였다. 나노 스펀지는 지난 10년간 연구팀이 개발해 온 연구물 중 하나로 코로나19가 발생할 당시 연구팀은 이를 즉시 응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고 한다. 어떠한 바이러스든 침투하는 세포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목록에 올리지 못한 것으로 여겨지는 7개를 보태 모두 110개가 있다. 각 목록은 메시에의
이름
에서 M을 따와 M1~M110으로 번호가 붙어 있다. M1은 게성운이고 '우리 모두의 개념이 모여 있는' 안드로메다는 M31이다.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는 메시에 목록을 하룻밤 사이에 모두 찾아내는 메시에 ... ...
한국군 통신위성 51일전 美 유인우주선 실어나른 재활용 로켓에 실려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두 쪽은 발사대에서 동쪽으로 약 800km 떨어진 곳에서 ‘미즈 트리’와 ‘미즈 셰프’로
이름
붙은 두 회수용 선박의 그물 위에 안착했다. 스페이스X가 지난해 1월 페어링 회수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스페이스X 제공 이번 임무는 스페이스X의 올해 12번째 발사면서 올해 처음으로 스페이스X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간에서 생존 에너지 얻는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Manganitrophus noduliformans)’와 ‘램리박터 리토트로피커스(Ramlibacter lithotrophicus)’라는
이름
을 붙였다. 이들은 망간의 독립 영양 생물로 망간 단괴와 함께 자라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번 박테리아 발견은 생명을 지탱하는 무기 대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며 “심해에서 망간 결절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