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력
지성
지식
두뇌
지적
지혜
교양
스페셜
"
지능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감은 당신의 뇌를 잠식한다 …뇌 연구 최전선으로 떠오른 '코로나 우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없어 객관적이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과학자들은 뇌파를 통한 우울증 진단 방법과 인공
지능
(AI)을 접목한 새로운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도 지난해 11월 병원에 가지 않고도 간단히 우울증을 진단하는 뇌파 측정 장비를 공개했다. 이승환 인제대 일산백병원 ... ...
[의학바이오게시판]'만원의 행복 충전' 기부운동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학제간 융복합 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해 개최됐다. 올해로 5번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인공
지능
(AI)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주제였다. 이향숙 이화여대 산학협력단장과 하은희 이화의료원 연구진흥단장 등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국립대학병원협회와 대한사립대학병원협회, ... ...
디지털 일자리 더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25일 국회 본회의에서 추경예산이 통과돼 바이오데이터 엔지니어 양성과 인공
지능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디지털 전환 지원, 정보통신기술(ICT) 창업기업 멘토링 지원 등 4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추경 사업은 멘토링 지원사업을 제외하고 모두 일자리 사업이다. 146억 원이 추가 편성된 ... ...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50여개 기업, 산업현장 디지털 전환 정책 직접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산기협)를 중심으로 결성됐다. 산기협은 KDTI 출범을 위해 ‘이노비즈협회’, ‘한국산업
지능
화협회’와 업무협약(MOU)를 맺었으며 디지털 혁신 분야를 대표하는 대규모 민간 협의체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구상이다. KDTI는 올해 독일 국제데이터공간협회(IDSA), 미국 산업인터넷컨소시엄(IIC) 등 ... ...
화성 하늘에 첫 헬기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평평하고 비행에 걸림돌이 되는 큰 바위가 없어야 한다. 인지뉴이티에 달린 인공
지능
(AI) 기반 내비게이션 카메라가 비행 중 위치를 인지하기 위해 활용할 바닥의 음영도 필요하다. 착륙장은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뉴이티 조종을 담당하는 호벗 그립 NASA 제트추진연구소 ... ...
ETRI, 범죄 예방하는 인공
지능
기술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소개하고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위한 상담 시간도 갖는다. 김명준 ETRI 원장은 "인공
지능
사회와 국민을 연결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고 있다"며 "연구진의 값진 성과전시를 통해 AI 상용화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랩큐멘터리] 인공
지능
눈을 갖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하는 만큼 사람의 뇌와 경쟁해야 한다. 그래서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핫’한 인공
지능
(AI) 연구에서도 컴퓨터 비전 연구는 핵심으로 꼽힌다. 포스텍 컴퓨터비전연구실은 이 학교 컴퓨터공학과 조민수·곽수하·박재식 교수 등 AI 전문가들이 이끌고 있다. 조민수 교수는 서로 다른 영상에서 물체의 ... ...
AI 이용해 캄캄한 밤에 북상하는 태풍 모습 대낮처럼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촬영한 영상을 선명한 천연색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기상청은 23일 “인공
지능
(AI)을 활용해 밤에도 선명한 천리안 2A호의 천연색 영상을 국가기상위성센터 누리집을 통해 제공한다”고 밝혔다. 천리안 2A호는 2018년 12월 발사돼 2019년 7월부터 정식 운영을 시작했다. 고해상도 컬러 기상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는 세계 최초의 토론하는 AI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0
디베이터(Project Debater)는 복잡한 주제에 대해 인간과 토론할 수 있는 최초의 인공
지능
(AI) 시스템이다’. IBM은 홈페이지에 ‘AI가 토론의 기술을 배운다’는 제목을 달고 프로젝트 디베이터를 토론 AI라고 소개한다. 토론 AI를 개발하는 이유는 인간이 설득력 있는 주장을 만들고 증거에 기반한 결정을 ... ...
"복지는 인간만이 가진 품위" 토론에서 누가 이야기했을까…답은 '신문 읽은 AI'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결정을 내리는 데 AI가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임준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언어
지능
연구실 책임연구원은 “프로젝트 디베이터는 근거를 추출하는 지식 노동이라고 부르는 작업을 대신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의사 결정에 필요한 근거들을 AI가 자동으로 일목요연하게 제시할 수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