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DNA의 구조와 복제 생명을 지배하는 이중나선구조
과학동아
l
198612
어떤 식으로 조합시키느냐에 따라 그 건축재료의 모양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생물체의
모습
을 형성하는 단백질의 구조를 결정짓는 기초소재인 아미노산을 어떤 형태로 조합하느냐를 결정짓는 것이 유전자이다. 즉 생물체가'집'이라면 자재의 선택과 조립을 결정하는 DNA(유전자의 본체)는 그 집을 ... ...
종합정보통신망―ISDN 21세기의 꿈의 전송로
과학동아
l
198612
현재를 연결시켜주는 가교역할을 하게될 ISDN, 이를 통해 다가올 사회의 다양한
모습
과 가치관 등을 미리 점쳐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더욱 크다 하겠다.인류는 원시유목사회에서 영농기술의 발달을 근간으로 정착하게 되면서 농경사회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이 기술을 통하여 생산되는 ... ...
모두가 울어버린 콘도르의 죽음
과학동아
l
198612
일종인 콘도르(Condor)는 결코 얼굴이 아름답다고 할 수 없지만 고공에서 천천히 회전하는
모습
은 보는 사람을 매혹시키고 만다.콘도르의 활짝편 날개는 3m나 된다.이 새는 독수리라고는 하지만 유순하기 짝이 없다. 먹이는 주로 사냥꾼의 총에 맞아 죽어가는 양이나 사슴이다. 사납지 않은 대신 눈은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11
선생님께서 특별히 필요로 하셨던 장치들은 어떤 것들입니까?“해저를 직접 관찰하고 그
모습
들을 기록해두는 장치가 무엇보다도 필요합니다. 노틸호는 이 점에 있어서는 만족스러웠읍니다. 우선 노틸호는 가벼웠고 해저 어디라도 갈 수가 있었읍니다. 해저의 암벽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도 할 수가 ... ...
올해의 노벨과학상 8명의 과학자가 영예차지
과학동아
l
198611
12월10일에 스톡홀름과 오슬로(평화상의 경우만 예외)에서 실시되며 상장과 노벨의 얼굴
모습
이 새겨진 금메달 및 상금을 받게 된다.의학상세포와 기관의 성장메카니즘 기초 해명업적올해 노벨의학상의 영예를 안은 ‘스탠리 코헨’교수와 ‘리타 레비─몬탈치니’박사의 연구업적은 세포와 기관의 ... ...
수달의 생생한
모습
포착
과학동아
l
198611
멸종위기에 처한 희귀동물인 수달이 나타나 물고기를 잡아먹는 생생한
모습
을 보여주었다. 화제의 수달이 나타난 곳은 경북 의성군 옥산면 오류천 계곡으로, 지난 10월11 ... 사라져가자 82년부터 천연 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돼 보호를 받아오던 중 이번에 그 적나라한
모습
을 드러낸 것이다 ... ...
진화과정을 증명하는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8611
마다가스카르 포유동물은 식충목(食䖝目)일 것이다. 식충목은 포유동물의 원시적
모습
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그 중의 원형으로 알려진 텐레크상과의 26종이 마다가스카르에 있으며 2종이 서인도제도에, 3종이 아프리카에 있다.설치류나 육식류도 서식하고 있다. 종류는 적으나 다른 지역과 상당히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8611
이르기까지 어느 것이든 가속할 수 있는 것으로서 ‘허브’ 등의 기여로 현대적인
모습
으로 발전하였다. 반데그라프 가속기는 가속전압을 높히기 위한 ${SF}_{6}$개스 가압형, 직렬형(Tandem)등으로 변신되면서 핵물리실험의 총아로 대두되어 중진국의 웬만한 대학이라면 5~10MeV의 정전압가속기를 ... ...
PART2 사무자동화(OA) 서류없는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611
정보 검색시스템. 이것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눈앞에 닥친 우리 사무실의
모습
이다.정부기관에서 경제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p씨는 사무실의 책상위에 설치된 컴퓨터 터미날을 사용하여 세계 여러나라에 관한 경제정보, 경제개발계획에 관한 정보 및 금융 정보 등을 검색하고 있다. ... ...
조기교육, 이래서 중요 3~11살 사이에 두뇌발육 절정
과학동아
l
198611
그러면 보다 활동적인 신경이나 뇌세포들이 설탕을 대사시키며 스캐너는 대사활동의
모습
을 찍어 활동성의 정도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사진을 만들수 있다.U.C.L.A의 ‘추가니’박사에 따르면 1백명 이상의 아이들의 두뇌를 단층촬영 했는데 나이에 따라 대사 활동의 정도가 크게 다른것을 알고 ... ...
이전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