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벗지 않은 채 수술을 받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아쉽게도 젠트리 박사의 암호 체계를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새로운 알고리듬은 엄청난 계산량을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이 방법을 쓰면 암호를 해독해 데이터를 계산하는 경우보다 1억 배 정도로 시간이 더 든다. 물론 새로운 개념이 나타났을 때 ...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조사 결과, 러시아 극동 지방에 400~500마리의 시베리아호랑이가 살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바로 이 시베리아호랑이가 한국호랑이와 같은 아종이다. 이에 야생동물 보존협회에서는 호랑이의 서식처를 보호하는 시베리아호랑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2005년 이후부터 그 수가 조금씩 늘고 ...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정말 중요하겠지? 건물 안으로 들어가자 학예실장님께서 우리를 맞아 주셨어.“여러분이 바로 도슨트가 되려고 찾아온 친구들이군요. 잘 왔어요. 저는 이 전시실의 이야기를 꾸민 김영진 학예실장이에요. 도슨트가 되려면 관람객이 궁금해 할 수 있는 전시물의 작은 부분까지도 꼼꼼하게 관찰하는 ...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있는 것을 말합니다. 1, 3, 5, 7, 9, …처럼 2만큼 일정하게 커지는 수를 늘어놓은 수열이 바로 등차수열이지요. 9, 7, 5, 3, 1…도 -2만큼 일정하게 커진다고 볼 수 있으므로 등차수열입니다. 그런데 소수로만 이루어진 등차수열도 만들 수 있습니다.5 11 17 23 29이 수열은 6씩 일정하게 커지는 등차수열이며, ...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수이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러면 허수는 영어로 어떻게 부를까? 바로 imaginary number라고 한다. imaginary는 라틴어의 imaginare(이마지나레)에서 왔는데, 14세기 이전에는 ‘실제로 보이진 않지만 머릿속에서 상상한 그림’이란 뜻이었고 14세기에 이후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 ...
- 수학적 사고력, 말도 잘 한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분야를 새롭게 개척하는 아나운서를 꿈꿔 보는 건 어떨까요?아나운서와 앵커, 올바로 쓰자!아나운서는 기자, 간호사, 의사처럼 직업의 종류고. 앵커는 아나운서의 업무 중 하나다. 즉 아나운서가 되면 앵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앵커는 취재한 원고를 마지막으로 정리해 전달하는 뉴스 ... ...
- 피자 분할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01호
- 0여 년 동안 피자를 똑같이 나누는 방법을 연구해 온 수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의 루이지애나대학교의 마브리 교수와 데어먼 교수입니다. 피자를 똑같이 나눌 때 원 중심을 지나도록 자른다면 간단하지만, 중심을 지나지 않게 자른다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피자를 중심을 지나지 않는 직선으로 ...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약이 소화기관을 거치면서 간에서 일부 분해되는 것과 달리, 파스는 약물이 혈관으로 바로 흡수되기 때문에 약효가 더 잘 나타난다. 따라서 파스를 이용하면 약물을 더 적게 사용하고도 약의 효능을 볼 수 있다.지속 시간 늘리고, 부작용 줄이고파스의 장점을 잘 살린 대표적인 예가 1998년 ...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집중시킬 수 있는 인조 잠자리 눈이 탄생한 것. 인조 잠자리 눈은 극미량의 물질을 바로 인식하기 때문에 초고감도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이 연구 결과는 2009년‘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 10월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고, ‘네이처 포토닉스’에 주목할 만한 연구로 소개됐다. 연구단은 앞으로도 ... ...
- 외국인 음성 인식하고 생생한 현장 소리 구현한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먼컴퓨팅연구실에서는 ‘머리전달함수’를 통해, 음이 귀에 바로 들리는 것이 아니라 귀에서 멀리 떨어진, 외부의 어느 지점에서 나는 것처럼 만들었다. 머리전달함수는 음원에서부터 청취자의 고막까지 소리가 전파되는 효과를 수학적으로 정의한 것이다. 여기에는 ... ...
이전6266276286296306316326336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