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19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족집게 프리노벨상 아시아에도 있다…국내에선 호암상 인정받아
과학동아
l
2018.10.02
초대 수상자로 선정됐다. 앨리슨 교수는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CTLA-4 단백질을
발견
함으로써 면역 항암 치료의 가능성을 학계에 최초로 제시했다. 국제적으로는 아직 프리 노벨상으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한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과학자들이 인정하는 호암상도 있다. 호암상은 1990년 이건희 ... ...
인도네시아 지진 피해 키운 건 액상화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액상화 확률이 큰 곳이다. 당시 진앙 주변 2㎞ 반경에서 흙탕물이 분출된 흔적 100여곳이
발견
됐다. 팔루 지역 역시 해안지역인데다 강과 지류가 많아 액상화 문제가 불거진 것이다. 신동훈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술라웨시섬의 이번 지진 발생지역은 바다와 만나는 강과 하천 등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21세기 면역학 키워드 '면역항암제' 노벨상까지 받다
2018.10.02
CTLA-4 단백질의 기능과 특성을 규명하고 anti-CTLA-4의 개발을 주도했다. 혼조 교수는 PD-1을
발견
해 anti-PD-1 개발의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이번에 노벨상을 받게 된 것이다. 항체신약의 효과는 기대이상이었다. 먼저 개발된 이필리루맙(여보이)라는 신약은 2010년 개발된 anti-CTLA-4로서 악성흑색종 ... ...
혼조 교수“'당신 덕분에'들었을 때가 행복…내 연구 지금부터가 시작”
과학동아
l
2018.10.02
앨리슨 교수와 면역관문억제제(면역항암제) 치료방법을 연구했다”며 “우리는 원리를
발견
했고, 이것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행복 그 이상이었다"고 말했다. 혼조 타스쿠 교토대 명예교수가 노벨상 수상 소식을 접하고 동료들과 기뻐하고 있다. 노벨위원회 트위터. 혼조 ... ...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8.10.02
비소를 일렬로 배열했을 때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생성하는 압전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일반적으로 원자는 반도체 내에서 삼각형의 포개진 형태로 배열한다. 연구팀은 압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원자 배열 전체를 압전효과를 띠는 배열로 바꿔 반도체를 제작했다. 그 결과 기존 실리콘 ... ...
사람 다리를 가진 개?
팝뉴스
l
2018.10.02
제공 사람 다리를 가진 개가
발견
되었는 풍문과 증거 사진이 해외 SNS에서 유포되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상체는 사람인 인어 공주와는 구성(?)이 반대다. 다리가 사람이고 상체는 개다. 골든리트리버의 뒷다리가 사람 다리인데 실제로 이런 ‘개 공주’가 존재한다면 네발로는 뛰어다니기 어려울 ... ...
23번째 노벨과학상 수상…日 과학 위기론 수그러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표면에 PD-1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약화시켜 암세포가 성장하기 유리해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신진 연구자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남들과 다른 관점으로 시작한 그의 연구가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이번 노벨상 수상자의 탄생으로 최근 수년째 제기된 일본의 과학 위기론도 재평가될 ... ...
“새로운 항암치료 시대 열렸다” 노벨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1
알게 됐다. 또한 혼조 교수는 PD-1의 한 부분(리간드)이 암세포에 의해서 발현된다는 점을
발견
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PD-1이 암에 대응하는 반응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혼조 교수는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거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을 받고 2014년엔 흑색종, 2015년엔 폐암과 ... ...
3세대 항암제 탄생 이끈 앨리슨·혼조 교수는 누구
2018.10.01
이어 면역관문 단백질을 억제해 면역기능을 되살릴 수 있는 ‘단일클론항체’도
발견
했다. 면역관문수용체는 면역기능을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게 해 인체의 방어 기능을 최고로 높이는 한편, 지나친 면역 활성으로 인한 정상세포의 손상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이용하면 환자의 ... ...
면역기능의 브레이크를 풀다…항암치료 길 연 美日 과학자 노벨의학상 수상(종합)
2018.10.01
혼조 명예교수는 1942년 1월 27일 일본에서 태어났다. 면역에 관련된 단백질 'PD-1'을
발견
했다. 이들 연구는 상용화로 이어져서, 피부암인 흑색종에서 CTLA-4을 억제하는 ‘이필리무맙(상표명 예르보이)’이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정식 판매 승인을 받아 2011년부터 판매 중이다. PD-1 억제제인 ... ...
이전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