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선미 수직타 위에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격납하는
곳
이다함교(bridgefin)에 레이더 마스트(돛대 모양의 기둥)가 있다 수면 가까이 부상해서 마스트를 올려서 물밖에 내어 사용한다 잠수함은 물 속에서 주로 활동하므로 수상함정에 비해 중요성이 크지 않다함교에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시작하면서 산불의 횟수가 증가했다. 전세계 산불 분포도를 봐도, 인간이 땅을 개간하는
곳
에서 산불발생 빈도가 높다. 땅을 일구기 위해 화전을 일삼기 때문이다. 아무리 훌륭한 방재 도구가 갖춰져 있더라도 화재 안전 의식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산불은 반복될 것이다. 샌타애나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종류의 증거를 발견했다. 그 가운데 어느 것도 확정적이지는 않지만 불 피운 자리가 여러
곳
에서 나왔다는 것은 당시 인류가 불을 조작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생각한다.Q_79만년 전 요리 흔적을 남긴 인류가 누구였는지 고렌-인바 교수에게 문의해보니 사람 뼈는 전혀 출토되지 않아 알 수가 ...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넘는 큰 수치로 표시하고 있다.역원은 계산의 기산점인데, 많은 역법에서 모든 천체가 한
곳
에 모인 때를 되짚어 계산해 이를 기준점으로 삼은 것이다. 오행성의 결집은 다섯 가지의 서로 다른 주기가 공통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만나게 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 5세기경 활동한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보면 ‘전파천문대’라는 푯말이 보이는 오솔길이 나온다. 굽이굽이 오르던 길이 끝나는
곳
에 커다란 접시안테나가 달린 전파망원경이 우뚝 서있고 그 앞에는 정원 씨와 창희 씨가 몸담고 있는 전파천문대 건물이 있다.후배 창희 씨는 이 골목 저 골목을 뒤져야 하는 복잡한 청계천 전자상가보다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조작할 수 있는 디지털 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2006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는 여러
곳
을 동시에 눌러도 동작을 인식하는 차세대 터치스크린 ‘서피스’를 발표했고, 지난 10월에는 다국적 석유회사인 셸이 미국 시카고 주유소에 손가락이 신용카드를 대신해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들 변광성이 밝을수록 주기가 느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그리고 이를 일반화해 다른
곳
에 있는 세페이드형 변광성에 거꾸로 적용했다. 주기를 측정한 뒤 변광성의 절대밝기등급을 알아내면 겉보기 등급과 비교해 지구에서 그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안드로메다은하와 지구 ... ...
세계에서 가장 큰 저어새 마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대 섬이 세계 최대 저어새 번식지로 확인됐다고 밝혔어요. 저어새는 바닷가 얕은
곳
이나 간척지, 늪지, 갈대밭, 논 등에서 먹이를 찾고 숲에서 잔대요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붓는다니 신기하지? 난 다리의 조직액이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 림프절 안에 살아. 이
곳
이 나 때문에 막히면 다리에 염증이 생기고 딱딱해지면서 굵어진단다. 사상충이 있는 모기에 물리면 걸리는데, 우리나라에도 제주도에 사상충이 있었대. 하지만 안심하렴. 이젠 제주도에서도 사상충이 모두 ... ...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어도는 우리나라로 올라오는 태풍의 40%가 지나가는 중요한 길목이다. 그래서 이
곳
에 2003년 이어도해양과학기지가 세워졌다. 이어도해양과학기지는 태풍이 우리나라 제주도에 도착하기 10시간전에 태풍의 위력(파도의 높이와 풍속)을 관측해 자료를 전송한다. 그래서 기지에는 파도의 높이를 ... ...
이전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