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뉴스
"
우주
"(으)로 총 7,466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독] 한반도 미세먼지 측정하는 美 연구용 비행기, 본보 최초 탑승 동행기
2016.05.09
대기 중 농도를 측정한다. 이 장비를 이용해 얻은 데이터를 잭 딥 미국 햄프셔 지구해양
우주
연구소 교수가 기록하고 있다(아래).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연구진은 비행기 안에서 관측 장비의 모니터를 체크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기자와 파일럿, 과학자를 포함한 탑승객 43명은 비행 중 ... ...
태양풍으로 가는 ‘
우주
돛단배’ 어디까지 왔나
2016.05.06
전기를 생산하는
우주
돛단배 ‘E 세일(Sail)’도 개발 중이다. 브루스 와이먼 NASA 마셜
우주
비행센터 수석연구원은 “길이 20㎞, 굵기 1㎜인 가늘고 긴 와이어 20개만으로 원형 돛을 만들 것”이라며 “현재 이 돛이 얼마나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지 시험 중”이라고 밝혔다. ... ...
서울대 연구진, 소프트로봇 대회 우승…비결은 아르마딜로와 종이접기
2016.05.05
가장 고민하는 게 어떤 환경에서도 작동하는 바퀴 구조다. 스누맥스의 바퀴를 미국항공
우주
국(NASA)에 제안해 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소프트 로보틱스라는 신생 분야에서 한국의 실력을 널리 알리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2016.05.05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천재소년’ 송유근, 준비 중인 논문 또 표절 논란
2016.05.04
투고하기 전 동료 과학자와 토론하는 공간인 ‘아카이브(ArXiv.org)’에 올라왔다.
우주
초기의 중력파가 방향에 따라 세기가 달라진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설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익명의 네티즌은 3일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 송 군의 논문이 조용승 이화여대 명예교수와 홍순태 ... ...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스마트폰 쓰는 데 빅뱅이 필요하다고?
동아일보
l
2016.05.03
안 했기 때문이다. 전문가가 자신의 영역을 넘어서는 순간 오류를 범하기 쉽다. 하지만
우주
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인류가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면 그 정도의 위험은 감수해야 하지 않을까.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 - 안철수의 구차한 변명…“사적 대화 보도 부적절” - ... ...
외계 생명체? 상상 못한 모습의 해파리 포착
팝뉴스
l
2016.05.02
기관이 빛을 내면서 신비한 분위기가 연출됩니다. 바닷속을 떠다니는 게 마치
우주
유영처럼 부드럽고 우아해 감탄하게 만듭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올 뉴 알티마, 중형 세단 시장의 다크호스로
동아일보
l
2016.05.02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 업그레이드된 실내 공간과 편의 사양 알티마에는 미 항공
우주
국(NASA) 연구에서 영감을 얻은 ‘저중력 시트’가 적용되어 있다. 골반부터 가슴까지 신체의 중심을 단단히 지지하도록 설계돼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켜 장시간 주행시에도 피로감이 덜하다. 신형 ... ...
하루 사이에 3000억 원 껑충…주파수 가격 도대체 ‘왜’
2016.05.01
몫으로 할당되는 건 보통 800㎒부터다. 3㎓ 이상이면 직진성이 매우 강해져 인공위성이나
우주
통신 등 특별한 경우에만 쓰인다. 결국 개인용 이동통신에는 800㎒~3.0㎓ 사이의 전파만 쓰도록 규정돼 있다. 통신사들은 이 주파수 내에서 최대한의 서비스를 해야 하는 ‘제약’에 묶여 있다. 정부는 ... ...
우주
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
과학동아
l
2016.04.30
LA와 비슷한 1200km2 였다. 속도도 훨씬 빠를 전망이다. 연구팀은 E-Sail을 이용해 장거리
우주
여행에 걸리는 시간을 3분의 1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1977년 발사된 태양계 무인탐사선 ‘보이저 1호’는 121AU를 날아 태양권 끝에 도달하는 데 35년이 걸렸다. 비그만 박사는 “E-Sail을 이용하면 태양권 ... ...
이전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