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 264명 UN 환경개발회의에 반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발전 위주 성장의 한계를 지적했던 로마클럽의 과학자들도 있으며 20년전 스톡홀름의 UN
인간
환경회의에서 생태학의 기치를 높이 들었던 사람들도 있다.결국 하이델베르크 성명서는 편견에 사로잡힌 몇몇 과학자들이 꾸민 이벤트라기보다는 '환경보존과 과학기술의 진보는 공존할 수 없는가'라는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세웠을까 하고 몹시 궁금하였다. 동네 사람들에게 물어 보았다. 대답은 귀신이나 악령이
인간
을 벌하기 위하여 세운 돌이라는 것이었다. 직업의식이 발동하여 존스는 그 돌들을 측량하고 크기를 기록하였다. 그는 그 내용을 왕립학회에 발표하였다. 이것이 나중에 선사시대인들이 세워놓은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어떤 감각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증거는 아직 하나도 없다. 그러나 이점이 확인된다면
인간
의 감각능력에 대한 신비를 푸는 연구가 새로운 장을 맞을 것으로 박사는 기대하고 있다 ... ...
생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기대할 수 없으므로 결국 양의 문제로 귀착된다. '공업용 알코올'로 통하는 메탄올을
인간
이 먹어서 이롭지 않은 것은 분명하지만 극미량일 경우에는 인체에 특별한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생약보다 오히려 메탄올이 더 많이 함유돼 있는 술이 이번 징코민 파동을 겪으면서도 전혀 여론의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두뇌와 다르다고 해서 깔보아서는 안된다. 두뇌를 가진 컴퓨터가 등장하면 그 회로는
인간
의 두뇌처럼 보이지는 않더라도 우리와 같은 수준으로 활약할는지 모른다. 아니, 더 높은 수준일 수도 있지 않을까?HOMO SAPIENS SAPIENS is a name redolent with hubris, for we humans do believe we'r ...
다니엘 부어스틴 「발견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쟁 국가의 흥망성쇠에 관해 이미 알려진 역사적인 사실에는 전혀 구애를 받지 않고 '
인간
이 알아야할 필요가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해 새롭게 세계의 역사를 엮어나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발견, 발명사와는 사뭇 다른 범속한 시각에서 사건들을 풀이해 읽는 재미를 더해 준다.이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비례하는 속도로 멀어져 가고 있다는 에드윈 허블의 발견은 천체들의 분포에 관한
인간
의 지식을 크게 넓히게 된 동기가 됐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이 발견의 의미는 과거로 갈수록 우주는 점점 작았으며 모든 물질과 빛은 결국 무한대의 밀도를 가진 점에서 출발했다는 것이다.이것이 약 1백5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지구가 태양계의 중심이 아니라고 주장했던 것과 같이, 천문학적 사실에서뿐만 아니라
인간
의 우주관 또는 철학관에까지 영향을 미쳤다.오래 전부터 특히 망원경이 고안된 이후에, 밤하늘에 별과 달리 희미하게 퍼져있는 물체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 이들의 이름은 빛을 내는 구름과 유사하다는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지구 전 육지면적의 10분의 1을 차지하는 빙하. 하지만 「얼음세계」는 아직 수수께끼에 쌓여 있다.유럽의 상징인 알프스산맥을 이루는 고봉들 ... 의미이든 간에 자연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장래의 기후변화는
인간
이 하기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4~10만년 전 경에는 인공적으로 불을 피우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검은 탄소덩어리인 숯이
인간
의 생활속에 깊이 자리잡게 되었다. 불을 자유로이 다룰 수 있게된 인류는 불이 내는 빛 그리고 음식물을 익히거나 부드럽게 하는 능력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1만년 전쯤에는 토기를 구워서 만들어 쓰게 ... ...
이전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