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71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등장 이후 재감염 사례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있지만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효과는 56%에 불과하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2월 9일 의학
학술
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를 주도한 아부 라닷 카타르대 교수는 “재감염 사례 대다수는 약 1년 간격으로 발생했다는 점에서 한 번 감염으로 일정 기간 동안 면역 ... ...
코로나19 백신 맞고 걷기 운동했더니 항체↑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코헛 미국 아이오와주립대 나노백신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뇌, 행동 및 면역’ 5월호에 게재한다고 밝혔다. 온라인으로 이달 5일 미리 공개됐다. 연구팀은 미국 화이자 백신을 맞을 예정인 36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3~6월 동안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무작위로 이들을 ... ...
입 안 헹구면 끝…코로나 검체 채취 가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PCR 검사를 대체할 수 있을 만큼 효과적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10일 국제
학술
지 '미생물스펙트럼' 온라인판에 실렸다. 김두운 바이오쓰리에스 대표(전남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구강 가글은 면봉을 이용한 검사 대신 비침습적인 타액을 이용한 진단검사"라며 "조기 진단과 ... ...
'3000억년에 딱 1초 오차'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새 원자시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활용해 3000억년마다 1초의 오차가 나는 높은 정확도의 광격자시계를 개발한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6일자에 게재했다. 원자시계는 물리학에서 정밀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다. 원자가 1초 동안 움직이는 횟수인 원자의 고유진동수를 활용해 정확한 1초를 알아내고 이를 통해 ... ...
'사람과' 오랑우탄도 석기문화 출현 전제 조건 충족
연합뉴스
l
2022.02.17
줄 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PLOS)이 발행하는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
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했다. PLOS에 따르면 연구진은 우선 노르웨이 크리스티안산 동물원의 수컷 오랑우탄 두 마리를 대상으로 석기를 만들어 이용할 줄 아는지를 실험했다. 연구팀은 콘크리트로 만든 ... ...
미세플라스틱 '자폐스펙트럼'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미세플라스틱의 관련성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인바이런먼트 인터네셔널’에 3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김진수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선임연구원팀이 미세 플라스틱이 영유아에 발생하는 난치성 신경발달장애인 자폐스펙트럼을 ... ...
라오스서 코로나19 친척뻘 바이러스 3종 발견…"자연 기원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보고있다. 마르크 에르와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연구원팀은 16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이 같이 보고했다. 연구팀은 라오스 북부 석회암 동굴에 사는 46종의 645마리 박쥐를 대상으로 타액과 대변, 소변 샘플 채취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95% 이상 유사한 코로나 ... ...
분자 둘중 한쪽 방향으로만 꼬이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6
KAIST 화학과의 김우연 교수, 임미희 교수, 윤동기 교수팀이 협업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지' 지난 4일자에 게재됐다. 아미노산 분자에 담긴 카이랄 정보가 단백질로 전달되면 분자를 넘어선 초분자 수준에서 카이랄성이 증폭돼 나타난다. 이는 단일 카이랄성이 만들어지는 데 ... ...
mRNA권위자와 에너지 혁신가에게 듣는 미래…세계 최대 AAAS 연차총회 17~20일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6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여전히 작동하나’를 주제로 한 토론도 진행된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의 편집장 홀든 소프 미국 워싱턴대 교수를 좌장으로 제인 루브첸코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관, 케슬린 홀제이미슨 미국 펜실베니이아대 교수 등이 토론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20년 만에 되살아난 ‘교차지원’의 망령
2022.02.16
인식해야만 한다. 대학에서의 문·이과 구분에 의한 폐해도 심각하다. 인문사회의
학술
연구는 인간의 가치와 사회현상을 논리적으로 탐구하는 것이고, 과학기술의 연구개발은 인간의 정체성까지 변화시킨다는 인문·사회계의 인식은 시대착오적인 것이다. 우주와 자연과 생명에 대한 현대 과학적 ... ...
이전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