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스페셜
"
바이러스
"(으)로 총 6,347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진드기
바이러스
’ 사망자 1명 추가…5명으로 늘어
채널A
l
2013.06.17
현재까지 접수된 야생진드기
바이러스
감염 의심 사례는 총 117건입니다. 이중 9명이
바이러스
감염 확진 판정을 받았고 4명이 생존해 제주, 경남, 전남 지역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야생진드기는 5월에서 8월 사이 가장 왕성하게 활동합니다. 야외 활동 중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 ...
[채널A] 전세계 공포 떨게 한 ‘
바이러스
3형제’…대유행 일으키나
채널A
l
2013.06.14
향후 백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될 걸로 생각합니다. 끊임없이 변종을 만들어내는
바이러스
와 백신을 개발하려는 인류의 싸움은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채널A 뉴스 이현경입니다 ... ...
세포 공장 만드는 '바이오디자인'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6.07
색안경을 끼고 본다면 무척 위험한 기술일 수 있다. 인류에 해가 되는 균주나
바이러스
로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로 악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단장은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언제나 어두운 부분을 지적하는 논란이 일게 마련"이라며 "자동차가 삶에 편의를 주었지만 사고 위험이 언제나 ... ...
[채널A] ‘식중독’ 잡는 은나노 개발…입자 구조 바꿔 큰 효과
채널A
l
2013.06.04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은나노가 사스나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바이러스
에도 효과가 있을 걸로 보고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채널A 뉴스 이현경입니다 ...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이빨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접촉하는 박테리아를 물어뜯고, 표면의 은 나노입자와 이온이
바이러스
를 흡착하여 치명적 효과를 주는 것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KIST 우경자 박사는“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구조의 나노복합 소재를 개발해 원천기술 확보와 그린환경 구축, 삶의 질 향상의 ... ...
질내균총과 자궁경부암 상관관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5.24
것으로 함께 규명하였다. 고광표 교수는 “질내균총 변화의 발견을 통해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과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는 병인규명과 진단마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이상이 전이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게놈에 박혀있는
바이러스
서열인 내인성 레트로
바이러스
(endogenous retrovirus)도 8%가 넘는다. 이런 서열들은 대부분 쓸데없는 짓을 하지 못하게 발현이 억제돼 있다. 이런 사실은 2000년 인간게놈프로젝트에서 게놈 초안이 발표되면서 확증됐다. 게놈에서 ... ...
[채널A] ‘살인 진드기’ 감염 사망자 국내 첫 확인…예방법은?
채널A
l
2013.05.21
보건 당국은 얼마전 제주에서 사망한 살인진드기 감염 의심 환자에서 살인진드기
바이러스
의 유전자가 검출되면서 확진 환자가 2명으로 늘어날 가능성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살인진드기는 5월부터 11월까지 활동이 왕성한 만큼 야외 활동을 할 때는 긴 옷을 입고 살충제를 뿌리는 등 ... ...
[채널A] ‘살인 진드기’ 의심 환자 국내 첫 발생
채널A
l
2013.05.15
5명이 숨졌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전국에 서식하는 작은소참진드기의 3%가 이미 이
바이러스
에 감염돼 있다고 주의를 당부한 바 있습니다. [인터뷰 : 염준섭/강북삼성병원 감염내과 교수] 진드기가 크지 않으면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 활동 후에는 샤워를 해서 자연스럽게 진드기가 ... ...
[채널A] ‘살인 진드기’ 국내서도 발견, 야외 나들이 때 조심해야
채널A
l
2013.05.10
필요합니다. [인터뷰 : 염준섭/강북삼성병원 감염내과 교수] 흡혈하면서 사람 몸에
바이러스
를 옮기기 때문에 그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치료제는 없습니다. 야외 활동 시 긴 옷을 입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야외 활동을 마친 뒤엔 샤워를 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 ...
이전
629
630
631
632
633
634
6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