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수학동아 l2009년 10호
- 휴대전화로 친구와 이야기를 나눌 때 두 대의 휴대전화를 이어 주는 선이 보이는가? 로켓이 우주를 향해 날아갈 때 로켓을 번쩍 들어 올려 주는 손이 보이는가? 교향악단의 악기가 웅장한 음악 소리를 낼 수 있게 해 주는 공기의 떨림이 보이는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세상을 즐겁고, 편리하고, 아 ... ...
- 3. 교통안전 지킴이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신호등 녹색 불의 시간횡단보도를 건널 때면 몇 걸음 가지 않았는데도 녹색 불이 깜빡이는 걸 볼 수 있다. 괜히 마음 급하게 왜 이럴까 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횡단보도 녹색불에는 엄연한 수학적 계산이 들어 있다.녹색 불이 깜빡이는 시간은 횡단보도의 길이를 걷는 속도로 나눈 값과 같다. 도 ... ...
- 삼각형은 왜 영어로 'triangle'이라고 부를까?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사람의 이름을 지을 때 여러 가지 의미를 담아 짓듯이‘triangle’ 도 도형의 특성과 관련된 의미가 담겨 있다. 그럼 도형을 부르는 영어단어는 어떻게 태어났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그 기원을 알고 나면 단어만 보아도 저절로 도형이 머리 속에 떠오를 것이다.기하학은 도형의 모양이나 위치 등을 연 ...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가위 바위 보!”‘무한도전’ ‘1박2일’과 같은 오락프로그램에는 매번 술래를 정하는 상황이 등장한다. 이 때 아무런 도구 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가위바위보다. 언제 어디서든 가위바위보는 수 초 만에 승자를 결정해 준다. 결과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가위바위보의 ...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아르헨티나의 소설가이자 시인인 보르헤스(1899 ~1986)는 그의 저서 ‘존 윌킨스의 분석언어’에서 ‘중국의 어떤 백과사전’에 나온 동물 분류법을 소개했다. 그 동물 분류법은 다음과 같다. (a) 황제에 속하는 동물, (b) 향료로 처리하여 방부 보존된 동물, (c) 사육동물, (d) 젖을 빠는 돼지, (e) 인어, (f) ... ...
-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바야흐로 꽃들이 만발하는 계절이에요. 진달래와 개나리가 부지런히 봄을 알리는 동안 벚꽃과 철쭉의 호위를 받은 꽃의 여왕이 마침내 모습을 드러낼 차례인 거죠. 매혹적인 빨간 드레스를 입고 고고한 자태를 뽐내는데…. 저런, 뾰족한 가시가 있어 다가갈 수가 없네요. 여왕은 사람들과 조금 더 ...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수학은 정말 즐거워요~!"아마도 이런 말을 듣는다면 뜨악한 표정을 지으며 '도대체 누가 그런 말을 해?'라고 이상하게 생각할 친구들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어렵고 재미 없는 과목의 대명사로 알려진 수학이 즐겁다니 도대체 말이 된단 말인가! 하지만 수학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걷어 내고 수학 ...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저건 왜 저렇게 생겼을까? 모양 속엔 수학적 안전의 원리가 담겨있다. 맨홀 뚜껑은 왜 동그랄까?길을 가다 보면 곳곳에 동그란 맨홀 뚜껑이 눈에 띈다. 상수나 오수라는 용도가 새겨진 맨홀 뚜껑은 지름이 64.8~110.8cm인 원형이 대부분이다.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이 다양하게 만들면 도로의 개성 ...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수학통조림 '소수 맛'이 새로 나왔어요! 소수 탄생의 역사, 초등 교과과정의 소수, 중·고등학교에서 소수 개념의 확장, 실생활에서 활용을 원재료로 맛있게 가공했습니다. 영양 성분도 고단백인 걸 보니 여러분의 수학 기초가 튼튼해질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소수의 참맛을 기대하며 통조림 뚜껑 ...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숫자만 생각하면 어지러워서, 중학교에 가면서 수학이 갑자기 어려워져서, 아무리 설명을 들어도 뜬구름 잡는 소리 같아서.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이유는 많고도 많지. 하지만 지레 겁을 먹고 수학과 사귀지 못한대서야 어떻게 수학을 즐길 수 있을까. 수학을 즐기기에 앞서 수학 기피증을 극복 ... ...
이전6316326336346356366376386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