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각 마디에서 2~3개씩 돋아나 겨울부터 봄에 걸쳐 피며 백색 · 자색 · 황색 등 여러
가지
가 있다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하며 큰 포기가 되지 않도록 해마다 싹을 다 잘라 작은 포기를 만든다 태양면의 일부가 갑자기 밝게 빛나면서 폭발하는 현상인 플레어가 발생하면 그 직후에 지구에서는 일조반구의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지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운전시간이 300초로 정해진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일단 수소 원자핵들이 핵융합하면서 중성자를 대량 방출하기 때문에 300초 이상 운전할 경우 주변 물질들의 방사화가 일어난다. 무엇보다도 핵융합 기초 연구가 목적인 KSTAR로서는 300초로 ... ...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Surface)도 이런 터치스크린 기술의 계보를 잇고 있다. 터치스크린의 현재 기술 수준은 3
가지
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손가락이 누르는 ‘필압’(筆壓)을 가늠하는 기술이다.가령 나이키 로고를 그릴 때 손가락 끝에 힘을 얼마나 주느냐에 따라 시작과 끝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유는 이 기술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있다면 우리나라의 과학계에는 ‘젊은 과학자상’이 있다. 이 상은 필즈메달과 마찬
가지
로 수상자의 자격을 ‘40세 이하’로 제한하므로 과학계의 신인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는 바로 ‘젊은 과학자상’의 1회(1997년) 수상자다.수상 당시 서른넷이라는 젊은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단계별 사업이 모두 중요합니다. 그 중 지금까지 성과를 낸 대표 프로그램을 몇
가지
얘기해볼까요. 교육단계에서는 차세대과학교과서에 거는 기대가 큽니다. 최근 검정을 통과해 내년부터 일선 학교에서 사용될 예정입니다.20대 실업률이 사회적인 문제인데, 미취업 이공계 졸업자 채용지원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먼저 쌓기 원하는 물질을 곱게 빻아 아주 미세한 가루로 만든다. 쌓기 원하는 대상이 두
가지
이상 물질의 조합이라면 정확한 비율로 섞는다. 빻은 물질은 다시 단단하게 뭉친다.이렇게 만든 시료에 강력한 레이저 광선을 쏘면 시료의 물질이 플라스마 상태로 바뀌게 된다. 각도를 잘 맞춰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띠모양으로 보인다보통 분자스펙트럼에 나타나 전자상태의 전이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회전이나 준위의 변동에 의한 에너지차가 가해져 띠구조를 만든다평면위에 한 직선 a가 있고, 한 직선 g에 대해, 이들 두 직선의 교점 (a, g)를 지나는 인 직선 g'을 대응시킬 때, 이 변환을 a를 축으로 하여 반전각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미 시작됐다!_포스텍 신소재공학과 4학년 양정아(23) 씨는 방학이지만 고향인 청주에
가지
않고 학교에 남았다. 지난 학기도 지겹도록 학교 안에서 공부했을 텐데 뭔가 신나는 일이라도 남은 걸까. 무더운 여름 그녀가 캠퍼스에서 꾸고 있는 꿈을 하루 동안 좇아봤다.대학 4년 동안 외국 경험을 못한 ... ...
조향사, 전자코와 한판 승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한개의 후각수용체가 여러 종류의 냄새를 담당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인간이 1만
가지
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주장도 근거를 얻게 됐다.서울대 생명화학공학부 박태현 교수는 인간의 후각메커니즘을 인공적으로 재현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인간게놈프로젝트를 통해 후각유전자 가운데 ... ...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묻은 빵을 삼키는 장면이 나온다.피하지방은 백색지방세포와 갈색지방세포 두
가지
로 이뤄지는데, 체온을 유지하는 방열판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생체호르몬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갈색지방세포의 경우 발열기능이 있어 겨울잠을 자는 동물에게 발달돼있다. 사람의 경우 소아에게서만 볼 수 ... ...
이전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