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d라이브러리
"
다음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리노의 수의' 새로운 논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10년전 한동안 논란을 빚었던 '토리노의 수의'에 대한 새로운 논란이 일고 있다. 이탈리아 산 지 오바니 대성당에 보관돼 있는 이 수의가 2천년 전 예수가 매장될 때 쓰여진 것인지 여부에 대한 논란이 다시금 일고 있는 것이다. 수의는 지난 1988년 탄소연대측정을 통해 예수의 것이 아님이 판명났다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잘 때 몸에서는 깨어있는 시간 못지 않게 활발한 생리 활동이 벌어진다. 뇌파가 여러 차례 반복해서 변하고, 호흡과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해진다.잠을 자는 이유는 무엇인가- 뇌에 존재하는 생체 시계사람은 왜 잠을 잘까. 대답은 간단하다. 졸리기 때문에, 그리고 너무 졸리면 일을 할 수 없기 때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첫눈이 오면 이제 사랑을 이루는 일만 남았군요." 첫눈은 과연 무엇이길래 우리는 그토록 아름다운 의미를 부여할까. 해의 첫눈이란 늘 고난하고 후회스런 지난 시간을 덮어버리고 다시 하얀 시작을 알린다. 첫눈, 첫만남, 첫사랑... 처음이란 늘 가슴이 시린 추억과 생기를 만는 것이다.강아지 세 ... ...
자석놀이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1. 미니 회전목마 만들기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해 페트병으로 미니 회전목마를 만들어 보자.■ 왜 그럴까?이 회전 목마는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힘인 자기력을 이용한다. 회전목마의 자석이 전자석에 가까워지면, 못과 자석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면서 당겨진다. 자석이 못을 지나서 리 ... ...
모차르트 42번 교향곡은 컴퓨터 작품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사람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꿈꾸어 온 사람들은 1980년대 초부터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작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선보이기 시작하였다. 예술가의 창조적인 재능을 가진 프로그램으로 간주되는 대표적인 작품은 아론과 엠미이다.아론의 부호아론(Aaron)을 개발한 해롤드 코헨은 본래 국제적 명성 ... ...
밤하늘의 유혹, 숨겨진 짝별 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밤하늘에 뿌려져 있는 많은 별들은 홀로 빛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대부분의 별들은 마치 남녀가 한쌍을 이루며 살아가듯 짝별을 가지고 있다. 어떤 별은 둘 이상의 별들과 어울려 있기도 하다.하나의 짝별을 가지고 있는 별을 가리켜 ‘이중성’이라 하며, 여러 개가 모여 있는 것은 ‘다 ... ...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인류가 처음으로 지구 이외의 천체를 방문한 것은 1969년 7월 20일 미국의 암스트롱이 달에 착륙했을 때였다. 그 후 태양계에 대한 우주 탐험이 본격화돼 우주라는 존재는 인류에게 매우 가깝게 느껴지고 있다. 1997년에는 마스 서베이어호와 마스 패스파인더호가 화성에 착륙해 화성에도 과거에 물 ... ...
식품에서 철분 찾아내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1. 영양제 속의 철분철분이 부족하면 혈액의 중요 성분인 헤모글로빈이 만들어지지 못해 빈혈이 생긴다. 헤모글로빈은 중심에 철이온이 들어있는 거대 단백질 분자다. 우리 주변에는 철분을 공급해준다고 알려져 있는 약품과 음식들이 많다. 실제로 이것들 속에는 철분이 얼마나 들어 있는지 알아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흔히 별똥별이라 불리는 유성은 우주 공간을 떠돌던 먼지티끌들이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빠른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한 후,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타버리면서 밤하늘에 멋진 빛줄기를 보여주는 현상이다. 아마도 맨눈으로도 관찰할 수 있는 천문현상중 지표면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일어나는 현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1994년 4월 26일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FermiLab)는 자연에 존재하는 마지막 소립자인 톱쿼크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톱쿼크는 1988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5천6백억eV의 에너지를 가진 양성자-반양성자 충돌기를 이용했으나 탐색에 실패했던 것. 이를 비웃듯 페르미연구소에서는 1조8천 ... ...
이전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