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 나의 과학선생님! Oh! my Science Teacher!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나라의 과학 교육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랍니다.첨단 과학 현장을 누비는
우리
선생님!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 과학자들이 한국 과학선생님을 만난다고?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중·고등학교 과학선생님들께 첨단 과학 연구의 현장을 견학할 수 있는 기회도 ... ...
10화 세계를 바로잡는 첫 발, 다시 학교로!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쌍둥인가?”조용한 학교 안으로 들어오자 폴b가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왠지
우리
가 두 명인 걸 들키면 안 될 것 같아. 피타도 눈에 띄지 않게 행동해야 할 것 같고.”“피타피타!”“수위 아저씨가 이 세계의 폴이 한 달 전부터 보이지 않았다고 했잖아? 원래 폴은 어디로 간 거지?”폴리스가 ... ...
양파가 백합이라고? 꽃을 보면 알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가족을 한 명씩 소개해 줄게. 모두 아주 예쁘단다.
우리
가 먹는 백합과 식물양파 외에도
우리
가 먹는 채소 중에 백합과 식물이 있단다. 파도 대표적인 백합과 식물이야. 마늘, 부추, 알로에도 백합과지. 그럼 여기서 퀴즈 하나 내 볼게. 각각의 꽃은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 채소와 꽃을 한 번 연결해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13일에 일어난 임진왜란에 대비할 수 없게 되오!
우리
가 아는 거북선은 진짜가 아니다?
우리
가 아는 거북선은 이순신 장군이 만든 거북선이 아니에요. 이순신 장군은 1592년에 왜군의 침입을 대비해 거북선을 만들었어요. 하지만 거북선은 이순신 장군이 없는 틈을 타 1597년에 다시 침입해 온 왜군에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수학아트전 예술로 변한 수학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원을 주제로 한 다양한 작품을 만나 보자. 수학과 예술의 경계는 어디?현대 수학은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3차원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차원을 넘나드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고차원의 신비감을 표현하기 위해 ‘선’을 이용하는 예술인 그래픽아트 기법을 많이 쓴다. 하지만 최근에는 수학의 ...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표현할 수 있게 됐다.
우리
가 덥거나, 차가운 느낌을 온도라는 수치로 표현하는 것처럼
우리
가 어떤 물건을 소비할 때 얻는 만족도를 객관적 수치로 표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뷔페를 제대로 즐기는 방법은?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 뷔페다. 뷔페는 평소에 접하지 못했던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이름은 같지만 뜻하는 수는 차이가 있다. 수 이름이 현재처럼 바뀐것은 19세기 이후다.
우리
나라에서 사용하는 큰 수의 명칭은 일부터 무량수까지 총 21가지다. 이 중 항하사부터 무량수까지는 불교에서 유래됐다. 항하사는 인도 갠지스 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셀 수 없이 무수히 많은 양을 뜻한다.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연합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농장을 이어받을 아들의 중요성이 커진다.그러나
우리
나라의 아들 선호 사상도 예전 같지는 않다. 요즘에는 딸을 지극히 아끼는 아빠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을 가리켜 부르는 ‘딸 바보’라는 별명도 생겼다. 전 교수는 “사회가 불평등할수록 남자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인류의 직접적인 조상인 초기 호모 속(속은 종의 상위 개념)은 약 200만 년 전후에 처음 등장했다. 그런데 당시 하나의 종이 아니라 여러 ... 학자들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고 소개했다. 팀 화이트 UC버클리 고인류학과 교수는 “
우리
는 아직 호모 하빌리스도 제대로 모른다”고 비판했다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공정(유기오염물의 결합 상태를 깬다)을 추가해 상시로 운영한다는 점이 다르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건설 중이거나 건설된 고도처리시설은 대부분 이 방식이다. 조 주무관은 “(한강 수질을 대상으로) 검증이 잘 이뤄져 있고, 효과도 가장 강력하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자외선을 투과시키거나 ... ...
이전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