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말한다.● 협정세계시 : 국제사회가 사용하는 과학적 시간의 표준. 영국의 런던시간이 0시일 때에 한국은 9시간이 빠른 다음 날 오전 9시가 된다.● GPS :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로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Part 1. 1월 1일, 1초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우리나라 생태계의 대표 핵심종이랍니다. 수달을 지키는 것이 곧 생태계를 지키는 일인 거예요.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 사는 수달은 자동차에 치이거나 그물에 걸려 죽는 경우가 많아요. 천적이 없는 수달에게 ‘사람’이라는 강력한 천적이 등장한 셈이지요. 그 결과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 현재는 ... ...
- 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130년이 지난 지금은 다시 전선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part 2. 전선 없는 세상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2017 아무도 몰랐던 문제가 온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세상에서 가장 수학적인 네티즌의 축제, ‘폴리매스’! 폴리매스는 출제자도 아직 답을 모르는 문제를 온라인에 공개하고, 이 문제에 관심 ... 매달 여러분에게 공개합니다. 세상 어디에서도 본 적 없는 새로운 문제죠. 여러분이 할일은 다함께 머리를 맞대고 논리적으로 답을 찾아가는 것뿐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계산이 필요할 때 유용하다. 정확한 수치가 중요한 영역에서는 느리더라도 정확도를 높일 다른 방법을 활용하는 게 좋다. 물리학자가 페르미 추정을 좋아하는 이유물리학자 페르미가 합리적으로 어림잡아 계산하는 걸 좋아한 이유가 있다. 자릿수 정도만 알아도 비교적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얼마나 빠른지 짐작이 간다.LSST의 주요 목적은 암흑물질이라는 미지의 물질을 찾는일이다. 아주 희미한 왜소은하도 찾는다. 왜소은하는 덩치가 작고 어두운 은하로 초기우주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아직 이론만큼 희미한 왜소은하가 많이 관측되지 않았는데, LSST가 이론과 관측의 차이를 메꿔줄 ... ...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주제에 도전하고 한계에 부딪쳐도 포기 않고 힘을 합쳐 해결하려 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동아리를 지도했던 박정임 교사는 “부족한 게 보여도 그걸 고쳐주려고 하지 않았다”며, “그 덕에 아이들이 어떻게 연구하는지도 알았고 기자 정신도 배운 것 같다”고 말했다.학생들이 처음부터 잘했던 건 ... ...
- [과학뉴스] 1952년 런던의 ‘살인 안개’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952년 12월 5일, 영국 런던에서 4000여 명의 사망자와 15만 명이 넘는 부상자를 낸 ‘살인 안개’의 원인이 처음으로 밝혀졌다.중국과 미국 등 영국 국제 공동연구팀은 대기 오염이 ... 띠는 것과 달리 중성에 가까웠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6년 11월 9일자에 실렸다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 있다. 이쯤 되면 게임이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도 일대 변혁이 일어날 것이다. 타일러 교수는 이 기술이 완성되는 시점을 불과 10~20년 뒤로 보고 있다. 생각보다 훨씬 가까이 다가와 있다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여덟 개의 지역으로 나눠 보면 흥미롭게도 그 경계가 행정구역상의 도 경계와 거의 일치했다. 전체적으로 행정구역상의 구분이 인적·물적 교류의 역사적 경계가 돼 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우선 서울과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북부 네 지역은 한 덩어리로 묶였다. 또 전라남북도는 성씨 ... ...
이전6326336346356366376386396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