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뉴스
"
약
"(으)로 총 14,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주 1회 인슐린 주사제 나오나?
연합뉴스
l
2021.03.24
인슐린 주사제와 효과가 같고 안전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일라이 릴리 제
약
회사가 개발한 주 1회 인슐린 주사제(BIF: basal insulin Fc)는 2상 임상시험에서 1일 1회 인슐린 주사제인 데글루덱(degludec)과 혈당 조절 효과가 같고 저혈당 위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UPI 통신이 23일 보도했다. ... ...
뇌의 별 모양 세포, 새로운 '수면 조절' 기능 발견
연합뉴스
l
2021.03.24
성상교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성상교세포를 활성화하는
약
을 생쥐 모델에 투여하고 뇌의 서파 활성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추적했다. 뇌의 서파 활성은 지진계에 표시되는 지진의 진동과 매우 흡사하게 나타난다. 뇌가 깨어 있을 땐 짧고 격한 신호가 촘촘히 ... ...
코로나19 팬데믹 1년, 무엇이 잘못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대형병원 운영비용에 해당하는 40억~50억 달러(
약
4조5000억 원~5조6000억 원) 정도인데, 이 중
약
75%가 특정 국가들에 쏠려 있다”며 회원국들이 지원 자금을 최소한 2배씩 늘려 WHO가 운영에 유연성을 갖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WHO에 따르면 2020~2012년 미국과 중국 차례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분담금을 ... ...
GIST교수들 "노조가 학내 다른집단 배제하고 문제 증폭"...총장 사퇴 진실공방에 학내 갈등 악화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거처 17일 오후 6시 요구사항에 대한 합의를 완료했다. 그러나 18일 오전 중 교수들
약
30명이 총장을 만나며 상황이 반전됐다. 22일 GIST 교수평의회가 배포한 입장문에 따르면 교수들은 18일 오전 총장 만나 직원 인사위원회 구성에 관한 사항은 근로조건과 관련이 없는 사항으로 단체교섭 대상이 될 ... ...
“탄소유발 기업 스포츠 후원 계
약
중단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있다”고 말한다. 그는 또 “화석연료에 의한 대기오염으로 연간 사망하는 사람은
약
870만 명이며, 흡연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연간 820만 명 이상”이라며 “담배 광고가 사람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스포츠에서 사라졌듯 이제 스포츠가 지구의 건강을 위해 주요 오염원 기업들과의 ... ...
美 듀크대 “올해 백신 120억 도스 생산 전망”...전세계 인구
약
76% 접종 물량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90%로 본다. 하지만 이미 고소득 국가와 중저소득 국가들이 상당부분을 구매하기로 계
약
했다. 특히 미국 모더나가 개발한 백신은 고소득 국가가 모든 백신을 구매하기로 돼있다. 보고서는 백신 불균형이 점점 심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백신의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될지 알지 못해 추가 접종이 ... ...
“코로나 진원지 中 우한 감염자수 공식통계보다 15배 많았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만 명이 감염됐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우한 보건당국이 발표한 공식 통계보다
약
15배 많은 수치다. 지난해 4월 우한 보건 당국이 공식 발표한 지역 내 코로나19 감염자는 5만 354명이었다.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우한 주민의 4월 코로나19 항체 형성률 4.43%보다도 ... ...
통발, 도마뱀 흉내내 물 제어하는 소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이동 거리를 측정한 결과 기존에 만들어진 다이오드 물 수송 표면의 이동 거리의
약
5배였다. 이진기 교수는 "3차원 물 수송 다이오드 표면은 기존의 다이오드 표면에 비해 성능이 월등히 좋고 제작방법이 간단해 미세유체 칩과 수분 수집에 적용 가능한 원천 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며 "레이저 ... ...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주요 난제 중 하나인 지속가능한 광원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기대된다. 광유전학은
약
15년 전부터 뇌과학 분야에서 주목받았다. 뇌의 뉴런에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발현시켜 빛의 유무에 따라 뉴런을 켜고 끌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뇌 질환의 원인을 찾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끈적한 관계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연구자들이 제시한 시나리오는 이렇다.
약
20억 년 전 지구의 산소 농도가 올라가자 산소를 싫어하는 아스가드 고세균이 산소 호흡을 하는 박테리아를 포획해 세포 내 산소 농도를 낮췄다. 그러다 박테리아가 산소 호흡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일을 전담하는 ... ...
이전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