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세컨드 라이프가 미래의 플랫폼이 될지는 결국 사용자들의 손에 달렸다.시간과 공간의 제
약
이 사라진 ‘웹 혁명’ 이후 ‘상호’와 ‘개방’이라는 키워드로 새로운 혁명을 일궈낸 세컨드 라이프. 이곳의 주민이 돼 사람들을 만나는 데 필요한 것은 컴퓨터 한 대와 몇 초의 시간이면 충분하다. ... ...
결핵 안전지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지난 해 11월 경기 안산시의 한 고등학교에서 46명의 학생이 집단으로 폐결핵에 걸린 사건이 있었다. 당시 조사 결과 6~7월에 결핵에 감염된 학생은 34명으로 2006년 ... 결핵
약
을 먹어 완치된 사람은 2차 감염이라고 해서 내성균의 위험이 더 크지는 않다. 똑같이 결핵
약
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 ...
멀티미디어 컴퓨팅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부문 2위를 차지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제작사인 워너브라더스는 1억달러(
약
1000억원)를 투자해 제작비를 조금 넘긴 1억1100만달러를 벌었을 뿐이다. 전직 영화 배우인 카르마인 카리디가 아카데미 심사용으로 받은 VHS 테이프를 친구에게 넘겨 DVD로 전환한 뒤 인터넷에 유포시켰기 ... ...
투명인간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막대와 식용유 사이에 경계면은 있지만 광학적으로는 구별할 수 없다는 얘기다. 만
약
눈금이 그려진 파이렉스 막대를 식용유 안에 넣으면 막대는 보이지 않고 눈금만 보인다.이 원리를 이용해 간단한 마술을 할 수 있다. 우선 파이렉스로 만든 온전한 컵을 식용유 안에 미리 넣어 두고 한쪽 끝이 깨진 ... ...
다섯번째 우주여행객은 억만장자 프로그래머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예를 들면 y=1/x²이라는 방정식에서 x=01일 때 y값은 100이지만, x=011일 때 y값은 8264이다 만
약
x값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면 y값이 무려 1735나 달라지게 된다 이런 일이 여러 번 계속된다면 y값은 전혀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이처럼 비선형 항에 의해 변수 값의 작은 변화가 결과 값에 큰 변화를 ... ...
1. 거세지는 여풍 파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여러 가지 제
약
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뜨거운 열정으로 충만한 이공계 알파걸의 활
약
이 기대된다. 이들의 움직임을 주목할 시점이다.*PISA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감독 아래 실시하는 15세 이상 학생의 언어, 수학, 과학 능력 평가다. 정규 교육과정보다는 실생활에 필요한 응용능력을 평가하는데 ... ...
지구온난화가 전염병 부추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탄소($^{12}{C}$) 원자의 1/12을 1달톤으로 정의한다 수소 원자는 1달톤이며 아미노산 1개는
약
1백10달톤에 해당한다펨토(femto)는 ${10}^{-15}$을 나타내는 접두어 15를 의미하는 덴마크어 femten에서 유래했다 몰(mole)은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다 탄소($^{12}{C}$)에 아보가드로 수(602×${1 ...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시간을 뛰어넘어 우주가 태어날때났던 소리도 포착됐다. 천문학자들은 우리 우주가
약
137억년 전 폭발한 뒤 급속도로 팽창하면서 만들어졌다는‘빅뱅’(Big Bang) 이론에 대부분 동의한다. 그럼 정말‘뻥~’(Bang) 하는 소리가 났을까.미국워싱턴대존크래머박사가2003년‘뉴사이언티스트’에발표한 ... ...
한반도가 너무 뜨거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더 많이 더워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기상청은 최근 “지난 100년 동안 한국의 온도가
약
1.5℃ 올랐다”고 밝혔어요. 세계 평균 기온이 0.74℃ 오른 것에 비하면 2배나 더 오른 거예요. 참고로 1991∼2000년 사이에 한국의 평균온도는 13.5℃였답니다. 또 한반도에서 겨울이 80년 전보다 한 달 가량 ... ...
야광구름 생성의 범인은 온실가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NASA)이 ‘야광구름’ 생성의 비밀을 캐기 위해 4월 25일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다.
약
80km 상공에 떠 있는 야광구름은 해뜨기 전이나 해가 지고난 뒤에만 볼 수 있어 과학자들에겐 수수께끼로 여겨져 왔다. 특히 은빛이나 푸른빛을 띠고 있어 보는 이에게 신비한 느낌마저 준다.1885년 야광구름이 ... ...
이전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