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녕
평온
안정
보장
무사
안보
안심
뉴스
"
안전
"(으)로 총 9,883건 검색되었습니다.
[함께 봐요 CES] 유레카 파크에서 만난 유레카! 포스텍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절차를 밟고 있다”며 “3월경 유럽 CE인증과 미 식품의약국(FDA), 국내 식품의약품
안전
처로부터 인증 절차가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트센싱…트래픽 레이더로 스마스시티 가시화 포스텍 전자공학과와 기계공학과 01학번 동기가 의기투합한 스타트업인 비트센싱(bitsensing)은 ... ...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지금 결정 못하면 월성 2~4호기 모두 운영중단 사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뒤 “원자력발전을 하는 한 요소기술의 기초원천기술은 가지고 있는 게 원전 수출이나
안전
에 이롭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미래 상황 변화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10년간 수천억 원을 들여 연구한 내용을 중단시키기보다는 연구실에서라도 유지시켜 기초원천 기술이 무너지지 ... ...
ESS 화재 위험 줄인 새 이차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김희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보다
안전
하고 경제적인 ESS 개발이 가속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주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생과 변예린 신소재공학과 박사후연구원이 공동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지난달 27일 국제학술지 ... ...
SKT, '자율주행의 눈' 만든다…CES서 차세대 라이다 공개
연합뉴스
l
2020.01.08
SK텔레콤은 이 같은 방식의 라이다가 자율주행 등 모빌리티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
안전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연기를 투과해 목표물을 탐지할 수 있는 특성은 재난 상황에서의 구조 등에서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앞으로 PSSI와 양사의 핵심 요소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해 지난해 11월 '네이처'에 발표했다. 네이처 제공 삼성전자는
안전
하면서 빛 효율과 안정성이 뛰어난 새로운 QLED 기술을 연세대와 공동으로 지난해 11월 개발해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유독한 중금속인 카드뮴을 사용하지 않고(삼성의 기존 QLED 제품도 카드뮴을 ... ...
삼성 김현석, 케어로봇 '볼리'와 CES 연설 "인간중심 혁신"
연합뉴스
l
2020.01.07
형성하는 데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공유했다. 김현석 사장은 "삼성전자는 개인이 더
안전
하게 첨단 기술을 누릴 수 있도록 데이터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최우선 순위에 둘 것"이라며 "착한 기술을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의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비전 '함께가요 미래로! 인에이블링 ... ...
[함께 봐요 CES] 자동차 부품 업체 獨 보쉬가 우주로 간 이유
과학동아
l
2020.01.07
기술 개발의 비전을 설명하면서 “보쉬의 ‘사운드시(SoundSee)’가 ISS에서의 생활을 더욱
안전
하게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사운드시는 기계학습 AI가 탑재된 센서 시스템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지난해 4월 처음으로 ISS의 키보(Kibo) 모듈에 올려보낸 애스트로비(Astrobee) 로봇인 ‘범블(Bumble ... ...
[함께 봐요 CES] "IoT 시대에서 AI 시대로"
과학동아
l
2020.01.06
산업에 적용되면 저비용, 저에너지 사용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또 5G 기술이 차량
안전
과 제어, 원격 의료 기술 등에 활용되면 기술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코니그 부사장은 “의료 기술에 5G가 결합한 디지털 헬스 기술은 조만간 라이프 스타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5G 기술은 ... ...
'미니장기'로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대체할 수 있다”며 “위험한 물질이나 유전자를 넣을 필요가 없어 다른 방법보다
안전
하다”고 말했다. 이미 쥐에서는 성공했고 사람에 적용하기 위한 막바지 연구가 한창이다. 오가노이드의 뼈대로 쓰는 지지체를 암세포에서 가져온 탓에 사람에 직접 사용하지 못하던 문제도 최근 해결됐다. 구 ... ...
ISS 임무 중 혈전 발견된 우주인, 원격의료 치료 받고 무사귀환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때 혹시나 모를 물리적 충돌로 인해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비행사는 다행히 지상에
안전
하게 착륙했다. 이후 6개월간의 추적 검사 결과 우주비행사의 혈관에서는 DVT와 관련한 어떠한 질병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무중력 상태에서 혈전을 치료하는 데 성공한 셈이다. 몰 ... ...
이전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