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뉴스] 북극서도 열섬현상… 마을 주변이 10℃ 더 따뜻해과학동아 l201603
-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 미하일 바렌스토브 교수팀은 북극해 인근의 러시아 도시 다섯 곳을 극야기간에 방문해 도심과 주변의 온도를 측정했다. 극야 기간은 극지방에서 24시간 동안 밤이 지속되는 기간이다.측정 결과 도시마다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도심의 온도가 도시 외곽보다 높았다. 인구 ... ...
-
- 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과학동아 l201603
- 9월 14일 지구에 도착한 중력파는 미국 핸퍼드와 리빙스턴 두 곳에 설치된 라이고(LIGO)로 검출했다. 라이고는 양쪽으로 팔이 4km씩 뻗은 ‘L’자 모양의 레이저 간섭계다. 이번 중력파는 라이고의 양 팔의 길이를 4x10-18m(양성자 지름의 200분의 1)만큼 변화시켰다.라이고‘늘었다 줄었다’ 중력파는 (+ ...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03
- 붙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으로부터 약 1000~10만AU 떨어진 곳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혜성의 구름이다.이 세드나가 바로 ‘행성 X’ 가능성을 부활시킨 주인공이다. 세드나를 필두로 근일점이 30AU(해왕성 궤도)보다 크고 장반경이 150AU보다 큰 천체가 이후 몇 개 더 발견됐다. ...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03
- 큰 소리로 웃으며 다녔다고 생각해 보자. 우거진 숲 속에서는 눈으로 보는 정보보다 먼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 정보가 더 유용하다. 그런 상황에서 큰 소리로 웃으면 천적에게 들키거나 잠재적인 먹이감을 쫓아버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쥐는 ‘찍찍’ 개는 ‘헉헉’ 동물도 웃는다과학자들은 ...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03
-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컴퓨터가 바둑 선생 역할을 대신할 수는 없다. 알파고에게 왜 그곳에 둬야 하는지 물으면 “15만 건의 기보를 분석하고, 수천 가지 경우의 수를 따져 본 결과”라고 대답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이런 식으로 바둑을 ‘학습’할 수는 없다.누군가는 인공지능의 반대편에 ... ...
-
-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수학동아 l201603
- 라이츠 미국 라이고(LIGO) 실험 책임자가 지난해 9월 14일, 미국 리빙스턴과 핸포드 두 곳에 있는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에서 중력파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힌 것입니다.중력파는 191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예측했습니다. 물 위에 떠 있던 배가 갑자기 ...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03
- 된다광자가 통과하는 곳에 있는 탐지기는 광자를 보면 ‘1’을 나타내고, 반사되는 곳에 있는 탐지기는 광자를 보면 ‘0’을 나타내게 한다. 그리고 광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보낸다. 광자를 계속 보내면 1과 0으로 이뤄진 이진법의 수열이 나온다.광자가 통과할지 반사될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1과 ...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02
- 모든 곳을 빈틈없이 얼굴로 채웠다. 이 얼굴들은 모두 같은 사람의 얼굴이지만, 바라보는 곳이 조금씩 다르다. 누구의 얼굴일까.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 걸까.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이 관장은 “이처럼 캔버스를 정교하게 채우는 기법을 일반 작가들에게서는 못 봤다”며 “그림을 보면 따라 ...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02
- 연구결과도 있다. 2011년 9월 미국 조지메이슨대 브론윈 데브린 연구원은 유속이 빠른 곳에 놓은 증거물일수록 지문이 빨리 사라진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어찌 보면 당연한 연구결과지만, 그동안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일에 착수해 수치화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북청 ...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02
- 이 둘은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백악기 때 새와 대형 익룡이 공존했다는 증거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에서도 거대한 익룡과 조그마한 새가 함께 호숫가 주변을 돌아다녔음을 보여주는 발자국 화석들이 발견됐다.안타깝게도 이 날짐승들의 공존은 지금으로부터 약 6600만 년 전,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