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각도
"(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집 줄여도 성능은 기대 이상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하면 렌즈를 통해 필름에 맺히는 영상과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영상이 달라진다. 거리나
각도
, 밝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SLR카메라가 뜨는 이유미러리스 카메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SLR 카메라부터 살펴봐야 한다. SLR카메라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Single Lens Reflex)의 준말이다.SLR 카메라는 콤팩트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먼저 자동차는 운전대를 똑바로 잡은 상태에서는 직선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일정한
각도
로 운전대를 잡고 있으면 자동차는 원을 그리며 돈다. 그래서 도로의 곡선은 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다.아래의 그림➊과 같은 도로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직선도로를 지나 첫 번째 원곡선이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결과에서도 양 선수의 오른팔과 몸이 이루는
각도
가 22°일 때는 초당 632°로 회전했지만
각도
가 66°로 늘어나자 회전속도가 초당 557°로 줄었다. 피겨스케이팅의 김연아 선수도 트리플 점프를 할 때 회전속도를 높이기 위해 순간적으로 손을 모은다.모든 과정이 제대로 됐는지는 착지 순간을 보면 알 ... ...
아인슈타인이 사랑한 냉장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기울어지는 모습까지 똑같다. 빨대 특허라고 해서 허투루 만든 게 아니라 최적의
각도
와 길이까지 다 연구한 끝에 내놓았기 때문이다.구부러지는 빨대가 떠오르는 또 하나의 장소는 영화관이다. 콜라 한 잔과 팝콘을 사들고 앉으면 이 빨대에게 고마워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함께 산 팝콘 역시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날 수 있을까.“날 수 있습니다.”김종암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의 대답이다. 여러
각도
에서 찍은 더 배트의 사진을 본 김 교수는 이 비행체가 개념적으로 충분히 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하지만 김 교수의 대답이 처음부터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첫 눈에 보이는 더 배트의 엔진은 기체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설명했다.2차원 평면에서는 거품을 이루는 기포끼리 만나면, 거품 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각도
는 60°로 모두 일정하다(그림 ➊). 이것은 50년 전 수학자들이 밝혀낸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이 사실을 이용해 3차원 공간에서 거품의 성장 과정을 방정식으로 나타냈다. 2차원 함수의 정의역을 3차원으로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통과할 수 있어 비로소 관찰이 가능하다. 하지만 관찰 대상을 얇게 조각내면, 자른
각도
에 따라 보이는 모습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반면에 X선은 투과력이 좋아 세포 소기관을 조각내지 않고도 통째로 관찰할 수 있다. 관찰 대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X선은 ... ...
스스로 빛나고 휘어지는 화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대형화하는 데 적합하다. 얇은 컬러 레이어로 색 정보를 표현하기 때문에 여러
각도
에서 동일한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초대형 휘는 디스플레이 나올까2017년까지 OLED를 이용해 60인치 크기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될 예정이다. 별도 장치 없이 사무실 유리창을 활용해 회의 내용을 ... ...
의료영상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단순히 이미지를 3차원으로 보여주는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3차원 영상을 다양한
각도
에서 보거나 투명도를 다르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시화해준다. 따라서 인체 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편해질 뿐만 아니라 분석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몸속을 보여주는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쏘아올린 포탄이 도착하는 지점(탄착점)을 구하기 위해서는 속도와 가속도, 그리고 발사
각도
, 중력과 같은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여기에 지형, 대기 상하층에 부는 바람의 차이는 물론, 먼 거리로 쏘아올릴 때는 지구의 자전에 따른 힘인 ‘전향력’까지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탄착점을 구하기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