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성
민중
인민
민족
국가
시민
공민
d라이브러리
"
국민
"(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관심이 많지만, 피부색깔에 대해서는 생각을 많이 안 해 봤을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민
대부분이 피부색깔이 비슷해 이런 생각을 할 필요성이 적었다.피부색에 대한 무관심은 과학계도 마찬가지였다. 제약 회사나 화장품 회사를 제외하고는 피부색 연구를 많이 하지 않았다. 하지만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조언했다.성적 걱정에 밤새 잠들기가 어렵다면, 불면증사당오락(四當五落)이라는 ‘
국민
징크스’에 빠져 오늘도 수많은 청소년이 잠을 잊었다. 학창시절 때부터 잠도 안자고 공부하는 습관이 든 직장인은 새벽까지 일을 한다. 공부나 일을 하지 않는 밤에도 일찍 자는 것에 대한 불안과 이미 굳어진 ... ...
대박을 부르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진행되는 조사로 여기서 얻어진 자료는 우리나라 기초 통계 자료로 쓰인다. 모든
국민
이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정확한 우리나라 통계 자료가 만들어진다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확인하기 위해 가장 많이 쓰는 장비는 GPS지만, 민간용 GPS는 오차가 10m 가까이 생긴다.
국민
대 무인차량로봇연구센터의 김재환 연구원은 “보통 차량 내비게이션에 쓰이는 GPS는 사람이 운전하는 상태에서 보조용으로 사용하는 데는 지장이 없지만 전투 로봇의 자율주행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1회당 300억 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지불할 만큼 F1은 국가의 정책적 지원은 물론
국민
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행사다. 즉 수익 확대를 통한 경기 활성화는 쉽지 않다. 앞으로 F1은 새로운 서킷을 짓기보다는 기존 서킷을 보수하거나 머신과 경기방법을 친환경적으로 보강하는 방향으로 ... ...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마리아와 같은 이름이 대표적인 예다.한편 2000년부터는 아시아태풍위원회에서 아시아
국민
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과 경계를 높이기 위해 아시아 지역 14개국에서 각각 10개의 이름을 정하도록 했다. 그런 다음 총 140개의 태풍 이름을 5개의 조로 나눈 뒤 순서대로 태풍 이름을 부르도록 결정했다 ... ...
이 세상에 단 하나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제1호 명예
국민
인 히딩크 감독의 주민등록번호는 뭘까? 우리 정부가 준 명예
국민
증에는 주민등록번호가 없다. 다만 시민들이 만들어 준 주민등록증에는 있다. 히사강이라는 이름에 461108-1020622라는 번호가 또렷하다. 물론 재미로 만든 것이지만 여기엔 적어도 두 군데가 틀렸다.13자리의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이상 기술 중심의 제품디자인으로는 차별화를 이룰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민
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반영환 교수는 “기기의 기능이 복잡해지자 정보를 쉽게 알려주고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경험디자인이 뜨고 있다”고 말했다.경험디자인의 범위는 넓고 다양하다.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왼쪽 페이지에서 당신이 얻은 수치를 비교해 주세요. 게임 도구에 나온 수치는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이 하루에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의 평균 무게입니다.자, 당신의 값이 이 수치보다 크다면, 안타깝게도 탈락입니다. 물론, 한 번 더 기회를 드릴 수 있어요. 아래의 요령을 보고 탄소 발생량을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실시하는 나라가 됐다. 지금까지 90년 가까이 좌측보행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국민
이 그동안의 보행습관을 바꿔야한다는 뜻이다. 이번 제도 변경에는 20년 넘게 우측보행을 주장해 온 교통학자 한덕수박사의 공이 컸다고 한다. 무엇이 사람들이 걷는 방향을 바꾸는 결단을 내리게 했을까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