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작업
사역
취업
과업
직업
야간근무
d라이브러리
"
근무
"(으)로 총 931건 검색되었습니다.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알렉빠르피레비치(65세)를 만난 것이다. 그는 1961년부터 1978년까지 바이코누르에서
근무
했다. 카자흐스탄 사막 한가운데에 세워진 바이코누르 발사기지는 아직까지 제대로 알려진 바가 없는 곳. 그로부터 러시아(옛소련) 우주개발 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물론 이 정보 역시 완벽한 것은 ... ...
소저너 탐사일지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항공공학을 전공한 후 1966년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에 들어가 30년이 넘도록
근무
해왔다. 그는 이번 화성탐사에서 가장 중요한 일을 맡은 소저너를 디자인하는데 직접 참여했고, 이름도 붙였다.인기를 끈 것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역시 이상한 이름을 지닌 바위들. 아레스계곡에 흩어져 있는 조그만 ... ...
사이버 진료시대 개척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진료형태의 모델을 만들기 위한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한 자동차 회사의 연구소에
근무
하는 윤모씨(37)는 요즘 동료들로부터 ‘의사 선생님’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간혹 농담 좋아하는 동료들이 별명 앞에 ‘돌팔이’를 붙이기도 하지만, 이런 친구들 역시 몸에 이상이 생기면 병원에 가기 앞서 ... ...
컴퓨터사이언스 경연장 미래가정 엿보기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벽의 상태까지도 거주자가 원하는 색깔과 분위기로 바꿀 수 있다.주인공은 재택
근무
시스템 앞에 앉아 업무를 처리한다. 전화벨이 울리고 수화기를 들자 오늘은 박물관으로 일을 보러갔던 남편의 얼굴이 유리창에 나타난다. 남편이 저녁식사 시간에 맞춰 들어오겠다고 전화를 한 것이다.저녁을 ... ...
정보고속도로운행증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자격시험인 인터넷 시스템 관리사자격을 얻으면 관련업계의 인트라넷 전문관리자로
근무
한다. 이들은 시스템 컨설턴트, 인터넷 구축, 사내전산망 구축 컨설팅 등을 담당하며, 시스템통합(SI)업체나 대기업 전산실에서도 활동할 수 있다. 인터넷정보설계사는 웹 마스터로 네트워크를 제외한 전반적인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컴퓨터로 만들어진 최초의 영상작품은 1963년 벨 연구소에
근무
하던 에드워드 자작의 ‘두 회전의 묘사’이다. 이 작품은 육면체의 단순화된 형태로 인공위성의 움직임을 표현한 것이다.컴퓨터를 예술 표현도구로 끌어들인 사람들은 컴퓨터 예술, 즉 컴퓨터그래픽스라는 ... ...
1. 현대사회 최고 스타 '벤처기업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8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2년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전자기술연구소에
근무
하던 이용태씨가 '삼보컴퓨터'를 세워 오늘날 중견기업으로 키웠다. 같은 시기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로 있던 이범천씨와 그의 후배들은 '큐닉스컴퓨터'를 차려 현재 주요 컴퓨터기기 생산업체로 ... ...
1. 1993년부터 인간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언론에 보도된 일이었다. 당시 이들은 캐나다의 한 모임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한 직후
근무
지인 워싱턴 대학병원으로 돌아와 있었다.이들의 연구는 즉시 전세계로부터 엄청난 반응을 일으켰다. 각 언론사들로부터 무려 2백50통의 전화가 한나절 동안 쇄도했다. 미국의 ‘뉴욕타임스’와 ‘타임’은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덕택에 책에서 그림으로만 보던 정밀기기들을 손으로 만져볼 수 있었다.그곳 0층에서
근무
하는 콘라드박사는 로켓 탑재용 망원경과 자외선분광기에 대해 소개했다. 훤칠한 키, 질끈 동여맨 긴 머리에 연신 농담을 섞어가면서 얘기하는 콘라드박사는 97년 봄 헤일-밥 혜성의 스펙트럼을 관측할 ... ...
NASA는 어떤 조직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연봉수준을 살펴보면 그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그림1). 흔히 NASA에는 박사급 연구자들만
근무
하는 줄 안다. 하지만 박사급 연구자들은 14%에 그치고 있고, 석사급 연구자들이 29%, 학사급 연구자들이 57%를 차지하고 있다. 또 전문대를 졸업한 사람도 11명이 있다. 결국 NASA는 대학을 졸업한 학사들이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