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해를 가리는 천문현상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다가오는 6월 21일은 일 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예요. 태양이 머리 위에 가장 높게 뜨는 날이죠. 그래서 일 년 중 가장 짧은 그림자를 볼 수 있는 날이랍니다. 잊지 말고 하짓날 오후 12시 30분 자신의 가장 짧은 그림자를 구경해 보세요.올해 ... ...
- [이달의 과학사] 왜 대중음악의 길이는 4분 정도일까? 레코드판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우리가 듣는 대중음악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노래의 길이가 약 4분 내외라는 것이죠. 음악의 길이가 이렇게 정해진 데는 ‘레코드판’의 발명이 큰 영 ... 음악을 듣는 방법은 꾸준히 달라졌어요. 하지만 초기 레코드판의 자취는 우리가 듣는 음악의 길이에 여전히 남아있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돌리고~돌리고, DIY 원심분리기 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서로 묶으면 실팽이 완성! ➋ 코코아 가루를 물에 넣고 잘 저어 준다. ➌ 빨대를 3cm 길이로 자른 뒤, 집게로 한쪽 끝을 잡고 라이터로 지져 구멍을 막는다. 빨대에 코코아를 절반 정도 채우고, 반대쪽 구멍도 같은 방법으로 막는다. ➍ ➌을 ➊의 두꺼운 종이에 대칭으로 붙인다. ➎ 실팽이를 2분 ...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평으로 나누는 알고리듬으로 작품을 분석했습니다. 특히 그림을 나눌 때 각각의 길이를 a, b라 하고, a+b로 a를 나눈 값을 ‘화면 분할 비율’로 정의했습니다. 분석 결과 전체 작품의 화면 분할 비율은 시대별로 비슷한 값을 나타냈습니다. 17세기에는 수평선의 위치가 위에서부터 약 5분의 3에 ... ...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플랑크톤, 물고기 등의 음향신호도 섞여 있어요. 크릴 신호만 구분하기 위해선 크릴의 몸길이를 알아야 해서 그물로 크릴을 잡았어요. 그 결과, 로스해 연안과 외해에 사는 크릴의 종류가 다른 것도 확인했답니다. 남극 바다에서 누구나 크릴 사냥을 할 수 있을까?크릴의 생물량 감소가 남극 ... ...
- [가상인터뷰] 유리개구리의 위장 비결, 윤곽 흐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윗부분은 반투명한 녹색이지만, 배 쪽은 투명해서 장기와 혈관을 훤히 볼 수 있어. 내 몸길이는 약 2.5cm로 청개구리와 비슷한 크기야. 나와 비슷한 유리개구리는 150여 종이 있다고 알려졌지. 2017년 아마존에서 새롭게 발견된 ‘하이알리노베트라키움 야쿠(Hyalinobatrachium yaku)’라는 종은 가슴 피부도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용해요. 덕분에 동영상은 같은 화질에도 GIF보다 용량이 작지요. 이런 탓에 GIF는 보통 길이가 1~5초로 짧고 해상도가 낮은 움짤이나 이모티콘, 스티커를 만들 때 쓰인답니다 ... ...
- [한장의 과학] 배고프면 동족도 꿀꺽! 알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중생대 쥐라기의 대표적인 육식공룡이에요. 두 발로 걷는 수각류로, 몸길이가 8.5m나 되어 쥐라기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추측되지요. 그런데 최근 알로사우루스가 동족을 잡아먹었을지도 모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미국 테네시대학교 지구·행성과학부의 조교수인 스테파니 드럼헬러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한 변의 길이가 1/2인 변이 32개 있으므로 32/2이죠. 마찬가지로 3단계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2)2, 변의 개수는 32×3=33으로 총 둘레는 33/22이에요. 결국 n번째 만들어지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둘레는 3n/2n-1이고, 단계를 무한히 반복하면 둘레 역시 무한히 커진답니다. 일정한 면적 안에서 무한한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주도적인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에 한국의 기술력을 보여 주고, 인류에 공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생각합니다.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위해서는 많은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 지금까지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이룩한 연구결과는 핵융합과 플라스마에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