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우리가 아는 생명체 중에 종교를 가진 건 아직 인간이 유일합니다. 그런데 종교는 생명체가 지성을 갖는 과정에서 반드시 나타나는 현상일까요, 아니면 인간만의 고유한 특성일까요? 만약 인공지능이 발달한다면 인간처럼 종교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을까요? 혹은 종교적인 깨달음을 얻는 것도 가 ...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최근 조합론과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SNS가 인터넷에 올라온 논문 하나 때문에 떠들썩했습니다. 민감도 추측이라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오랜 추측을 이 분야 연구자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간결하게 증명한 겁니다. 답이 ‘예’ 또는 ‘아니오’ 둘 중 하나로 나오는 ...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마비될 마(麻), 매울 랄(辣). ‘혀가 마비될 정도로 맵고 얼얼한 맛’이라는 뜻의 마라. 대륙의 매운맛, 마라가 한국을 강타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혈중 마라 농도’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마라를 꾸준히 먹어 마라에 중독됐다는 뜻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빗댄 표현이다. 청 ... ...
- [맛있는 수학] 추석맞이 베이글 인절미수학동아 l2019년 09호
-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풍성한 한가위가 다가왔습니다. 추석에 먹는 음식이라고 하면 송편이 가장 먼저 떠오르죠? 하지만 늘 먹는 송편은 어딘가 진부하니 저는 특별히 추석맞이 인절미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재료는 한층 더 독특하게 베이글입니다! 위상수학이 무엇인지, 그리고 베이 ...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브레멘 음악대의 사건을 해결한 다음날,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모처럼 일이 없는 한가한 사무실에서 음악을 들으며 여유로운 오후를 즐기고 있었어요. 그런데 그때….“쾅쾅쾅! 쾅쾅! 꿀록 탐정님! 쾅쾅!”갑자기 누군가 사무실의 문을 부서져라 두들기는 게 아니겠어요? 너의 목소리가 들려~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모기 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는 7월 1~7일 과학동아 페이스북과 과학동아 정기구독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유전자 변형(GM) 모기를 이용한 모기 박멸에 대한 독자들의 생각을 물었다. 231명이 모기 박멸에 대한 의견을 보내왔다. 의견은 찬성과 반대 두 가지로만 받았다. 분석 결과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법과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프랑스의 에드몽 로카르는 많은 사람이 크고 잘 보이는 증거물에 집중한 것과 달리 작아서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증거물에 주목했다. 미세한 먼지와 흙, 금속 파편 등을 감정해 범인이 현장에 있었으며 피해자와 함께 있었음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이는 현재 과학수사 ...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더 이상 예술은 인간만의 창의적인 활동이라고 말하기 힘들지 모릅니다. 사람 못지않게 예술작품을 만드는 인공지능이 속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 예술가가 등장하는 두 작품, ‘지마 블루’와 ‘카운트 제로’를 소개합니다. ●지마블루지마 블루는 영국의 SF작가 알라스테어 레 ... ...
- [SW 진로 체험] 수학 사랑꾼, SW 개발자로 거듭나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수학적 논리력은 SW 개발에서 어떻게 힘을 발휘할까? 코딩 경험 없이 어릴 때부터 수학 외길을 걸어 에르되시 수* 3 보유자이기도 한 최호진 연구원은 어떻게 SW 기업에서 일하게 됐을까?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일하는 회사는 어떤 곳인가요?티맥스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대기 중 가장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질소는 지구에서 가장 흔한 원소 중 하나다. 또한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구성 원소 중 하나로, 생명체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원소이기도 하다. 질소를 다루는 방식은 과학 연구뿐만 아니라 산업, 농업 등에 큰 영향을 끼쳤다. ‘세상을 바꾼 원소’ 중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