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술
아트
장식미술
장식
데코레이션
데코레이숀
회화
d라이브러리
"
미술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침내 다시 합쳐진 사자머리 조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위해 스위스로 날아간다.당시 밀덴버그의 소장품은 미국 전시 투어 중이었다. 오하이오
미술
관 큐레이터였던 제니퍼 닐 박사는 전시물에 섞여있던 사자머리 조각을 회반죽 주물로 떠 뉴캐슬대에 보냈다. 주물은 뉴캐슬대에 소장된 또다른 조각과 거의 맞아 떨어졌다.밀덴버그 박사가 사망하자 그의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문체로 풀어쓴 ‘나무의 문화사’ 라 할 만하다.”‘궁궐의 우리나무’ 에 대한
미술
사학자 강우방 교수의 평이다. 자연과학자의 연구를 인문학자가 평한다는 것도 우리 학계에서는 드문 일인데, 그 연구 또한 ‘문화사’에 이를 만하다는 것은 괜한 찬사가 아닐까. 하지만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말입니다. 거울에 그린 광학 강의 내친 김에 아예 화가가 직접 나서 과학과
미술
의 초현실주의 시도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국 워릭대는 과학과 예술의 상호교류를 위해 물리학과에 상근 화가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주인공인 알란 파커는 이미 국내외의 갤러리에서 여러차례 개인전을 열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걸어서 서해 건너온 우리 조상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한반도에서 살았을까? 충남대 고고
미술
사학과 이융조 교수는 “약 2만5천년 전부터”라고 답했다. 우리 조상은 4천년 전인 청동기시대의 단군이 아니라 2만5천년 전 좀돌날몸돌이라는 석기를 이용한 구석기인이라고 한다. 2만5천년 전은 마지막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됐다. 자신의 배우자의 모습을 TV 속 연예인과 비교하면 초라해 보인다는 얘기다.독일의
미술
가 알프레히트 뒤러는 더 아름다워질 수 없을 만큼 아름다운 사람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 아무리 뛰어난 외모를 지닌 사람이라도 흠을 찾으려고 하면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한가지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보색대비를 보고 ‘색충돌’(Color Clash)이 일어났다고 한다. 한편 크라이틀러 같은
미술
심리학자는 노랑-파랑보다도 빨강-파랑 같은 준보색이 더 강한 색충돌을 일으킨다고 말한다. 노랑과 파랑의 경우 밝기 차이가 커서 색충돌을 상쇄시키는데 반해, 빨강과 파랑은 밝기가 서로 비슷해 색상차이가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말 이색적인
미술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다음달 중순까지 개최되는 ‘위대한 얼굴-한중일 초상화 대전’이 바로 그것입니다. 흔히 동북아 3국을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부릅니다. 이번 전시회는 세나라 사람들의 옛모습이 어떠했는지 한눈에 비교해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되는 것이죠.우리나라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백석 규모의 극장과 영화관을 찾아 공연과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미술
관을 찾으면 고가
미술
품을 관람할 수 있다.운동을 하고 싶다면 5개의 수영장중 한곳이나 체육관을 찾아가면 된다. 도서관을 찾아가 책을 읽거나 플라네타리움에서 별자리 관측을 즐길 수 있다. 기분전환을 생각한다면 온천이나 ... ...
세계 최고 볍씨 발굴 이융조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가장 오래된 볍씨를 발견했다”고 인터넷판에 보도했다. 이 특종의 주인공은 충북대 고고
미술
사학과의 이융조 교수(62). 이융조 교수는 세계적인 구석기 전문 고고학자다. 그가 발굴한 유물은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와 세계를 놀라게 한 굵직굵직한 것들이다 1976-1983년 충북 청원 두루봉의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때문이다. 1997년 충북 청원군 소로리의 후기구석기 유적을 발굴하던 충북대 고고
미술
사학과 이융조 교수팀은 토탄층에 박혀있는 탄화된 볍씨 12개를 찾아냈다. 발굴이 끝나고 연대측정 전문기관인 미국의 지오크론랩에 측정을 의뢰했던 이 교수는 놀라운 결과를 받았다. 이들이 1만5천여년전에 묻힌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