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리
수레바퀴
차륜
타이어
굴레미
링
반지
d라이브러리
"
바퀴
"(으)로 총 1,52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시도한 위성이라는 기록을 세운다. 시네마는 목표 궤도에 진입한 뒤 몸체에 달린 작은 휠(
바퀴
)을 두 달 동안 천천히 움직여 자세를 바꾸도록 설계됐다. 몸집이 작고 탑재체도 단순한 큐브샛은 대개 궤도에 올라가 태양전지판을 펼치는 등 간단한 작업만 하도록 설계되며 자세제어처럼 정밀한 작업은 ...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인공)이 만든 달(위성)이라고 생각 하면 됩니다. 저궤도 인공위성은 약 100분에 지구 한
바퀴
를 돌만큼 빠른 속도로 지구 전체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적도상공의 인공위성이 도는 속도와 지구의 자전 속도가 같게 되면 지구에서 볼 때 마치 정지한 것처럼 보이는데 그것을 정지궤도 위성이라고 해요.Q.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없는 타이어가 있다?!
바퀴
? 타이어? 두 단어를 정확히 구별해서 사용하고 계신가요?
바퀴
는 ‘돌리거나 굴리려고 테두리를 따라 둥글게 만든 물건’이며, 타이어는 ‘자동차나 자전거 등의
바퀴
에 끼우는 테두리’입니다. 최근 ‘□’ 없는 타이어가 개발돼 큰 화제라고 하는데요, 주로 군용 ... ...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설날이 지나고 첫 번째로 큰 보름달이 뜨는 음력 1월 15일을 말해. 음력은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공전 주기로 한 달을 정한 역법이니까, 음력 1월의 정 가운데에 있는 대보름은 달이 가장 동그랗게 보이는 날이지.대보름에는 오곡밥처럼 맛있는 먹거리도 많단다. 한 해 풍년을 기원하면서 먹는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이다. 예를 들어 비행기 조종사가 착륙할 때 계기판의 비정상적인 지표를 해석하느라
바퀴
내리는 것을 잊는 바람에 더 큰 사고를 낸다. 기능적 고착은 상황이나 물건의 사용법을 유연하게 해석하지 못하는 것이다. 편지봉투를 뜯을 때 앞에 있는 빗으로 할 수 있는데도 굳이 칼을 찾아 나선다.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만큼 높은 곳이지만 힘을 전혀 들이지 않고 2시간 반 만에 오를 수 있다.
바퀴
에 톱니
바퀴
를 달고 산자락을 거대한 갈지(之)자 모양으로 오르는 산악열차덕분이다. 초원에서 출발한 기차는 산자락에 있는 아담한 마을과 전나무가 우거진 숲, 하얀 설원을 지나 꽁꽁 얼어붙은 얼음의 나라 ... ...
인공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거야. 안쪽 구는 초당 15
바퀴
의 속도로 회전하고, 바깥쪽 구는 상대적으로 느린 초당 4
바퀴
의 속도로 회전해.두 개의 구가 각기 다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 사이를 채운 액체 나트륨은 어느 쪽에 장단을 맞춰야할지 몰라 혼란스럽게 움직이지. 그 결과 대류현상과 비슷한 소용돌이가 만들어져. ... ...
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속도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진동 때문에 데스크탑 컴퓨터에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회전속도는 7200rpm(1분에 7200
바퀴
)을 넘지 않는다. 이 사실로부터 왜 하드디스크의 바깥쪽 부분은 읽기와 쓰기 속도가 빠르고 안쪽 부분은 그 속도가 느린지를 알 수 있다. 간단한 물리를 도입해 보자. 원운동을 하는 물체가 단위시간당 원주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뛰어 오른다.이 로봇은 장애물이 많은 험한 지형을 정찰하는 데 적합하다. 기어가거나
바퀴
로 움직이는 로봇은 커다란 바위를 만나면 무용지물이 되기 일쑤지만, 벼룩로봇은 장애물을 쉽게 뛰어 넘을 수 있다. 벼룩로봇에 센서를 달면 환경오염 지역이나 외계행성의 대기환경을 분석하는 데 활용할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결코 작지 않은 숫자다. 인류가 손에 손잡고 한 줄로 늘어서면 적도 기준으로 지구를 131
바퀴
돌 수 있다. 지구와 달 사이는 13.7번 왕복할 수 있다. 지구에 존재하는 모다. 적어도 지구에는 그보다 훨씬 넓은 땅이 준비돼 있어 보인다. 인구는 앞으로 얼마든지 더 늘어도 되지 않을까.생태지리학자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