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d라이브러리
"
수증기
"(으)로 총 847건 검색되었습니다.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빨래한다눈이 오려면 구름이 있어야 하고 구름이 생성되려면
수증기
가 응결해야 한다.
수증기
가 응결할 때는 물이 증발할 때 빼앗은 열이 방출된다. 따라서 찬바람이 부는 맑은 날보다 눈오는 날이 더 포근하기 때문에 개울에서 빨래를 할 수 있다는 말이다.⑩해무리나 달무리가 나타나면 비가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그 중 한가지 가설. 엘니뇨 기간에는 열대 해수의 온도가 증가해서 많은 양의 열량이
수증기
에 실려 대기로 들어간다. 이 열량은 응결과 강수를 통해서 주로 적도 상공과 열대의 태풍 그리고 중위도의 사이클론 속에서 잠열로 방출된다. 결국 엘니뇨는 열대와 아열대의 바다에서 주변 대기로 열을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과학적으로 보면 조금 잘못된 것이다. 서리는 기온이 빙점 아래로 떨어질 때 공기중의
수증기
가 지면에나 주변 물체에 붙어 응결된 얼음 결정이다. 가을이 되면서 밤 기온이 떨어져 영하로 내려가면 처음에는 물방울이 맺혀 이슬이 된다. 하지만 점차 온도가 더 내려가면 이슬이 얼어서 서리가 된다.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수증기
가 돼 캔 안에 있던 공기를 밀어낸다. 그런 상태에서 캔을 찬물에 담가 식히면
수증기
가 물로 변해 부피가 작아지면서 캐의 내부는 거의 진공에 가까워진다. 결국 캔은 외부의 대기압에 의해 납작하게 찌그러진다. 뜨거운 물을 넣은 페트병의 경우도 알루미늄 캔의 경우와 동일하다. 페트병에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작은 소용돌이는 하루 3백-5백km씩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인다. 바다를 지나면서
수증기
가 충분히 공급되고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으로 소용돌이의 크기와 강도가 커지면 이들은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하게 된다.태풍은 바로 이 열대저기압 중 비교적 세력이 강한 것을 일컫는 이름이다. 태풍(颱風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부분 압력은 ‘(대기압-허파내
수증기
압)×0.2093(대기중 산소비율)’으로 정의된다. 허파내
수증기
압은 그대로이고 고산으로 갈수록 대기압은 감소해가므로 호흡으로 빨아들인 공기에서 산소분압은 계속 줄어든다. 에베레스트 정상에서 기압은 약 346hPa로 해수면의 34%로 떨어진다. 그런데 빨아들인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늘어난 태양열 때문에 지구의 온도는 크게 올라갈 것이다. 바닷물은 증발하고 하늘은
수증기
와 구름으로 뒤덮일 것이다. 그러면 지구는 지금의 금성처럼 뜨겁고 메마른 행성이 돼 더 이상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태양은 적색거성으로 변해 늙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덩치는 지금보다 ... ...
더위야 물럿거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대어 보면 그릇 바깥쪽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열을 흡수해
수증기
가 됐던 물이 다시 열을 방출해 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물리적인 변화 뿐 아니라 화학적인 변화에서도 반응물질과 생성물질들 사이에는 반드시 열 출입이 있다.반응이 진행되면서 열을 방출하는 ... ...
교과서 실험 옴부즈맨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실험에서 만들어지는 이산화탄소는 물에 거의 녹지 않고(상온에서는 더욱 더 그렇다),
수증기
도 대부분 응결되므로 물 속에 다 녹는다고 볼 수 없으므로 산소의 소모로만 설명할 수 없다는 얘기다.양초 연소실험에서 물이 올라가는 것은 공기의 열 팽창에 의한 기압 변화 때문이나 작지만 산소소모에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와 산소(20.9%)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극히 미미하게 있는 이산화탄소(0.035%), 메탄(0.0002%),
수증기
(0 - 4%) 등이 생명체가 살아가는데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로 지구를 따뜻하게 해주는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다.이산화탄소, 메탄과 같은 기체는 파장이 짧은 빛은 통과시키고, 파장이 긴 적외선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