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맹세
계약
서약
다짐
언약
규정
약정
d라이브러리
"
약속
"(으)로 총 1,015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팔다리가 쑤신다. 비가 오려나?” 할머니가 이렇게 말씀하시면 하늘은 마치 할머니와
약속
이라도 한 것처럼 어김없이 비를 뿌린다. 할머니에게는 ‘팔다리가 편안한 정도’가 날씨를 가늠하는데 이용되는 변수인 셈이다. 기상학자들은 할머니보다 훨씬 많은 변수를 모아 날씨를 예측한다. 온도와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싶었다.이갑신이라는 단짝 친구는 사업을 하고 윤 교수는 과학자가 되자고
약속
했다.
약속
대로 그는 캘리포니아공대에 입학해서도 물리를 전공했다. 그러다 대학원 때부터 흥미를 느껴 시작한 것이 천문학이었다. 학부 때 교수님을 따라 천문대에서 별을 관측했던 경험이 컸다. 그래서 그는 지금도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보내 주마’라며 일본의 마지막 텃새 황새를 인공 증식을 위해 잡아들인 지 40년 만에 그
약속
을 지켰다. 처음 포획 때부터 사육사로서, 은퇴 후엔 황새 안내자로서 줄곧 황새와 함께 생활을 해 온 마츠시마씨는 이제 마음의 짐을 조금 덜 수 있게 됐다. 황새가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줄곧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메릴랜드대 물리학과 서은숙(44) 교수를 만나기로 한 것은 지난 9월 28일 오전 10시.
약속
장소인 서 교수 연구실에 갔지만 문은 닫혀 있었다. 조금 기다리자 한국인 조교가 다른 방으로 안내했다. 서 교수는 미국 학자들과 세미나 중이었다. 살짝 열린 문틈으로 인사를 보내자 그는 세미나를 멈추고 ... ...
창공을 가르는 날틀의 경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서로 좌우 대칭으로 갈라지면서 하트모양이 가을 하늘에 두둥실 떠오르자 관람객들은
약속
이나 한 듯 얼굴에 미소를 머금는다. 연이어 투명한 창공에 태극 문양이 넓게 펼쳐지자 환호성이 쏟아졌다. 태극문양을 만드는 고도는 불과 수백m. 5~5.5G(조종사가 받는 중력, 1G가 지상에서 받는 중력) ... ...
위성영상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근본적인 이유”라고 밝혔다. 인공위성을 이용한 영상 서비스의 경우 국제적으로
약속
된 해상도 규제 기준이 없다. 미국은 자국에서 서비스되는 영상에 한해 0.5m급부터 규제를 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6.6m급으로 미국보다 규제가 훨씬 심하다. 이는 아리랑위성 1호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삼은 것. 이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있다잠수함은 보통 통신을 외부로부터 받기만 할뿐, 내보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사전
약속
된 시간에 특정한 장소로 부상해 지령을 접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신을 받을 때도 안테나를 수면 위로 내밀면 적의 레이다 등에 의해 위치가 탐지돼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잠수함은 수중에서도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참전하자 헤일에게 제대하면 가겠다는 전보를 보내고 보병으로 입대했다. 1919년 제대 후
약속
대로 윌슨산천문대로 갔고 1953년 죽기 전까지 그곳에서 연구했다. 재 현 실 험허블의 법칙은 천문학사에 한 획을 그을 만큼 중요한 발견이었다. 하지만 허블도 100% 정확하지는 않았다. 허블이 처음에 얻은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뜻인데 컴퓨터통신에서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때 통신방식에 대한
약속
을 의미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컴퓨터통신이 개인간 또는 기업차원을 벗어나 국제적인 성격을 띠게 됨에 따라 프로토콜의 표준화는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전자우편 또는 E메일로도 불린다 컴퓨터 사용자들끼리 ... ...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몽골국립대 측으로부터 과학적 정밀 조사를 위해 좀더 많은 유물을 한국에 보내겠다는
약속
을 받았다. 하지만 아직 풀어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몽골국립대 연구팀은 유물의 주인공이 칭기즈칸의 일족이었다는 결정적인 근거로 반지에 새겨진 송골매를 들었다. 하지만 송골매는 ‘왕족 수준’이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