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과학"(으)로 총 3,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불이 나면 소방차는 가능한 빨리 달려가야 합니다. 서울연구원이 2010~2014년 서울시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을 분석한 결과, 소방차 출동 시간이 5분을 넘으면 재산 피해가 3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피해를 줄이려면 모든 지역까지 5분 안에 갈 수 있는 곳에 소방서를 세워야 해요.이처럼 건물의 위치를 ...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오래되고 낡은 골프채처럼 보이는 표본 속 사진은 사실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운석이다. 지구로 진입하면서 받은 엄청난 열 때문에 마치 일부러 만든 것처럼 손잡이 모양이 생겼다. 이 표본은 하늘이 인류에게 준 선물인 철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철은 지각에서 무게 기준으로 네 번째로 풍 ... ...
- [Origin] 프랑스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청과학동아 l2017년 07호
- 6월 19일 우리나라의 첫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1호기가 영구정지 됐습니다. 노후한 원자력발전소를 해체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있는 일인데요. 전세계적으로는 오래 전부터 뜨거운 이슈였습니다. 원자력발전소의 대부분이 1960~1970년대 세워져 수명이 다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금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무엇이 우리의 미래를 변화시킬까.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에서 남녀노소 모두가 던질 수밖에 없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강연이 열리고 있다. 네이버와 네이버문화재단, 카오스재단이 후원하는 인문과학 강연 프로젝트 ‘열린연단 : 문화의 ... ...
- [과학뉴스] 욕망이 들끓는 시대의 슬픈 자화상, 대마초와 해피벌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인기 그룹 빅뱅의 멤버 탑(본명 최승현)이 대마초를 흡연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최근 환각 효과를 내는 화학물질인 아산화질소(N2O)가 무분별하게 유통되면서 마약과 환각물질이 사회문제로 떠올랐다.의무경찰로 군 복무 중이던 탑은 입대 전인 지난해 10월 가수 연습생인 여성 A씨와 함께 서울 용산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안아키’와 ‘안예모’를 들어봤는가. 안아키는 ‘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이하 안아키)’, 안예모는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모임(이하 안예모)’이다. 이름만 봐서는 아이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한 모임으로 보인다. 그런데 최근 이들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이들은 백신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인류가 최초로 로켓을 우주로 날려 보낸 것은 1957년이었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난 현재까지, 우주로켓과 인공위성, 우주탐사선의 추진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기모터와 배터리, 3D프린터, 플라스마, 전자기파 등 우주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기술까지 도입되고 있다.◀ 발사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채 9시가 되지 않은 밤이었다. 신도시의 주공 아파트 단지로 우주선 한 대가 진입했다. 인류의 역사에서는 처음 있었던 일이지만 우주선의 크기가 만두 가게에서 쓰는 쟁반 크기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게 우주선인지 알아 채고 놀라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심지어 아파트 8동의 경비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동물 보호 운동가’ 추연서 기자입니다. 며칠 전 길고양이 학대 동영상을 보았어요. 길고양이를 돌보는 일명 ‘캣맘’, ‘캣대디’에게 무차별적인 언어와 신체 폭력을 가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고 해요.대체 길고양이가 어떤 잘못을 했기에 사람들이 이렇게 괴롭히는 것일까요? 길고양이의 울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음악만 수학을 만드는 게 아니죠. 수학으로 음악을 만든 역사는 훨씬 오래 됐습니다. 클래식 음악에 기여한 수학적 작곡법부터 최신 이슈까지 살펴봅시다.주사위만으로 음악을 만들면 어떨까.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1792년 ‘음악적 주사위 놀이’라는 왈츠 작곡법을 발표했다. 주사위 두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