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름"(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쿤달] 제조기│우주에 없던 향을 만들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고심하는 단계다. 향을 배합하는 조향사들은 보통 만들고자 하는 향을 떠올린 뒤 이름을 붙이고 향을 제작한다. 이때 주로 본인이 기억하는 향을 떠올리며 그와 어울리는 향들을 찾는다. 하지만 이번에 제작하는 창백한 푸른 점은 알고 있던 향이 아닌, 상상해서 만들어 내야 하는 향이었다. ... ...
- [이달의 과학사] 1946년 2월 14일 컴퓨터의 선구자, ‘에니악’ 공개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폭 1m, 높이 2.5m에 무게가 거의 30t(톤)에 달하는 거대한 기계가 공개되었습니다. 이 기계의 이름은 ‘전자식 숫자 적분 및 계산기’라는 뜻의 ‘에니악(ENIAC)’. 최초의 컴퓨터(전자식 자동계산기) 중 하나였습니다.에니악은 1943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싸우던 미국 육군의 요청으로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랜선 친구와 더불어 살아가기! 온라인 커뮤니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 많이 \\ 받아 / \_♡ _ /당첨자는 2월 15일까지ran@donga.com으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어때요? 만드는 데 엄~청 오래 걸렸어요! 엄마, 아빠에게 보낸 새해 문자였답니다. 오래 걸렸지만 너무 재밌었어요! 여러분도 꼭 만들어 보세요~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크에 파쿠르 게임방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문자열’ 명령블록을 가져와 문자열을 3칸으로 만드세요. 11 ‘플레이어-플레이어 이름’과 ‘플레이어-플레이어 절대좌표’, ‘위치-position에서 다음 정보 얻기’, ‘계산-더하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그림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플레이어의 y좌푯값에 60을 더하는 이유는 플레이어가 ... ...
- [에디터 노트] 창백한 푸른 눈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보인다면 얼마나 안심되고 행복할까요. 점 하나로 멀어져 있겠지만, 그곳에 있을 반가운 이름들을 불러볼 수는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그때의 냄새나 소리, 함께 한 이들의 눈빛이 어른거릴지도 모르겠습니다. 과학동아가 그런 창백한 푸른 점이 되면 좋겠습니다 ... ...
- [가상인터뷰] JET, 핵융합에너지 출력 신기록 경신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Q.JET에 대해 소개해달라.영국과 EU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토카막 기반의 핵융합연구로의 이름이다. 전 세계의 핵융합연구로는 각자만의 특징이 있다. JET는 중수소-삼중수소의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유일한 장치다. 중수소-삼중수소 반응은 현재 한국을 비롯해 세계 7개국이 프랑스 남부 ... ...
- [과제] 이번 수업의 과제는 이야기 나누기 입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채널 ‘굴러라 구르님’을 운영중인 김지우 씨(오른쪽)는 ‘이달의 휠체어’란 이름으로 휠체어 화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이달의 휠체어는 ‘우린 같은 교실에 있어야 해’란 주제로 제작됐다. 교실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함께해야 서로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았다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0칼로리 치킨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해결해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화면을 핥아 음식의 맛을 볼 수 있는 TTTV(Taste the TV)란 이름의 제품인데요, 초콜릿, 피자 등 다양한 음식의 맛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제품을 테스트하는 영상이 소셜미디어(SNS)에서 인기를 끌기도 했죠.우리의 미각은 단맛, 짠맛, 쓴맛, 신맛, 감칠맛 다섯 가지 맛을 ...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한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렇게 냄새를 통해 과거의 기억이 되살아나는 현상을 작가의 이름을 따 ‘프루스트 효과’라 부른다. 이런 일이 가능한 이유는 냄새를 감지하는 후각신경이 뇌 속에서 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변연계와 의식을 담당하는 대뇌 피질로 정보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 ...
- [JOB터뷰] 양자전쟁을 무대에 올리다! ‘외계공작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입을 열었어요.“어릴 땐 과학 이론이 전부 뚝딱 만들어지는 줄 알았어요. 과학자 이름과 이론은 흔히 들어 봤지만, 그 과학자가 연구하면서 느끼는 감정까진 생각하지 않잖아요. 연극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던 건 과학 이론이 아니라, 이론의 탄생 과정과 과학자의 고뇌였어요. 또, 자기 이론이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