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제"(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극복하고자 했다. 그리고 연구를 지속할 새로운 동력으로 펀딩을 기획했다. 펀딩의 주제는 돌고래 연구 ‘굿즈’다. 펀딩을 통해 돌고래 생태 연구의 중요성을 알리고, 동시에 연구비를 확보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펀딩을 통해 발생한 수익은 전액 연구비로 사용할 예정이다. ... ...
-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또는 학교와 연구소 간에 교류가 매우 활발하다. 워낙 연구 인력이 많은 덕분에 한 가지 주제에 대해서도 서로의 기술이나 경험을 교류하면서 시너지를 발휘할 기회가 많다. 필자가 속한 연구기관 중 ‘ICFC(Beijing Innovative Center for Future Chips)’라는 연구소는 기존의 반도체칩이 아닌 인공지능(AI) 칩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주제가 수학인 만큼 우리 크루는 ‘매스시티 맵’을 만들었습니다. 세계 곳곳을 여행하는 계획을 세우며 수학이 깃든 도시까지 중간에 들르기로 한 거죠. 각자 평소에 눈여겨 뒀던 지역을 토대로 61개 도시를 골랐습니다. 그중에는 유명한 관광지부터 수학적 의미 있는 장소도 포함돼 있습니다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내년 과학 활동 미리 계획하기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주최하는 ‘과학전람회’입니다. 1인 또는 2~3인으로 구성된 팀이 자신이 정한 연구 주제에 대해 탐구 활동을 진행합니다. 이후 이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제출하고, 연구 내용에 대해 발표한 뒤 질의 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보통 4월 초 지역 교육청에서 예선이 열리므로, 학기 초에 급하게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하나가 과학창의재단에서 지원하는 ‘융합인재교육(STEAM) R&E’였다. 1년 동안 하고 싶은 주제를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데, 이 씨는 유기 용매를 친환경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그는 “이제까지 논문에 나오지 않았던 걸 찾아내는 방법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말했다. 2학년 때는 학교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훌륭한 독서활동이 되지 않을까. 가장 중요한 역량, 독서 올해 ‘학생부 가이드’라는 주제로 연재한 글에서 말하고자 했던 내용은 실제적인 관리법보다는 학부종합전형 각 항목의 의미에 대한 것이었다. 사실 실제적인 관리법은 학생마다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아무리 설명해도 부족한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통과학기술이 한국 문명에 미친 영향을 정치, 복지, 경제, 문화, 군사 등 5가지 대주제로 나눠 소개한다. 가장 먼저 관객을 맞는 전시물은 12m 높이의 거대한 미디어아트로 재탄생한 ‘태평성시도(太平城市圖)’다. 태평성시도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대형병풍이다. 조선의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망설임 없이 ‘수학 이론’이라고 답했다. 수학 외의 관심사나 취미가 있지는 않은지 주제를 던져봐도 이야기는 금세 수학으로 돌아갔다. “피타고라스 정리 같은 기본이 되는 정리를 완성하는 게 꿈”이라며, “500년 후에도 누군가 내 정리를 보고 감명받아 이름을 불러줄 수 있는 그런 연구를 하고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 폴수학학교 재학생들은 필수적으로 수학 분야와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서 주제를 택해 연구를 해야 한다. 여기에 코딩이 더해지면서 탁월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매년 한국수학교육학회와 한국멀티미디어학회에서 학생들이 연구 성과(R&E 결과물)를 발표하고 있다. 또 일본과 싱가포르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모든 과정을 100시간 수업 중에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만들었다. 이 부장은 “한 가지 주제로 학기당 약 30시간 동안 탐구 활동을 하는 것”이라며, “학교는 물론 다른 영재교육원에서도 하기 힘든 경험”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학 입시에서는 영재교육원 등 학교 밖에서 활동한 내용을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