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한국계 수학자 최초 필즈상 수상 '허준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총 64명이 받았는데, 한국에서 교육을 받고 자란 수학자가 필즈상을 받은 건이번이 처음이에요. 허 교수는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두 살 때한국에 왔고,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한국에서 다녔지요.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박사 과정을 마치고 대학 교수가 됐어요.허 교수가 수학계에 이름을 알린 건 ... ...
- [특집] 우주에서도 그림자 발견!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12일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 ‘궁수자리 A*(에이스타)’와 그 그림자의 모습이 처음 공개됐어요. 우리나라를 포함해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미와 남미 등 300명이 넘는 과학자로 이뤄진 ‘사건지평선망원경(EHT)’ 국제 공동 연구팀이 세계 곳곳에 있는 8대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해 관측에 ... ...
- [특집] 최초 발견! 참매미 약충은 5형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호아 연구원은 “매미의 령 연구가 드물고, 참매미 약충이 5령까지 있단 사실을 처음 밝힌 연구”라며, “이번 연구는 매미처럼 생애주기가 긴 다른 곤충 약충의 수명 단계를 구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출동! 슈퍼M]②도넛처럼 생긴 튜브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사이에 두고 반으로 접었을 때 완전히 겹치거나, 가운데 한 점을 기준으로 180° 돌렸을 때 처음과 같은 모양이 되는 것을 ‘대칭’이라고 하지요. ‘원’은 가장 완벽한 대칭 도형이에요. 어떤 방향에서 절반으로 접어도 똑같고, 어떤 방향으로 돌려도 같은 모양이기 때문이지요. 원 모양 튜브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0화. 행성공장의 유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높은 산을 100개 정도 주문하셨지요.”딱지와 해롱 선장을 비롯한 모두가 행성 공장은 처음 와보는지 다만드러의 설명을 들으며 고개를 끄덕이고 있었습니다.“일단 땅과 바다를 완성하면, 비가 오면서 강과 호수도 생길 거예요. 그러면 나무와 풀을 심고, 동물들도 데려와 생태계를 만들어요. ... ...
- [가상 인터뷰] 도마뱀이 살기 좋은 통나무 집이 따로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브래들리 연구원은 “라이다 기술을 동물 보호하는 데에 활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 기술로 도마뱀 등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서식지를 분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물들을 위한 서식지를 재현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이들이 계속 잘 살 수 있게 하려면 서식지 ... ...
- [기획] 다누리 달에서 할 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떠올랐어요. 정해진 개발 기간 안에 다누리를 완성하려면 궤적 수정만이 답이었지요. 처음으로 돌아간 듯 막막했지만, 6명의 연구원이 매일 밤낮 없이 매달려 연료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BLT 전이 궤적을 설계했어요. NASA에 저희가 독자적으로 완성한 설계에 대해 검증을 받은 결과, 매우 ... ...
- [그래프뉴스] 우주 아래 같은 파랑은 없다! 천왕성과 해왕성의 '색'다른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해왕성의 색이 서로 달라 보이는 이유는 ‘안개’ 때문이라는 사실이 처음 공개됐어요. 천왕성과 해왕성은 태양계의 가장자리에 있는 행성이에요. 두 행성은 모두 메탄, 수소, 헬륨 등의 기체★와 얼음으로 이뤄져 있고, 크기도 지구의 4배 정도로 비슷해요. ‘색깔’만 빼고는 쌍둥이처럼 닮았지요. ... ...
- [이슈] 도토리슈퍼 머니 어벤져스, 오늘은 내가 '사장'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그려진 물건을 만들게 됐나요? 친구들에게 제 그림이 그려진 선물을 주고 싶어서 배지를 처음 만들었어요. 그런데 친구들이 SNS에 올린 사진을 보고 배지를 사고 싶다는 사람이 생겼어요. 중학교 2학년 때 티셔츠, 양말, 배지를 100개 정도 만들어서 판매했지요. 제 그림이 일상 속 물건이 된다는 게 ... ...
- [특집] 냄새를 맡으면 왜 기억이 떠오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만들었어요. 이후 이 향을 실험해본 결과, 향을 맡은 참가자들의 뇌파가 안정되었고, 처음엔 다른 사람의 눈을 잘 못 마주치던 사람도 잘 맞추게 되는 등 자존감이 오른 모습을 보였죠. 문제일 교수는 “후각 연구가 발전되면 질병의 치료와 진단, 생활 개선 등에서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