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적혈구는 파괴하지 않았다. 적혈구는 박테리아와 달리 번식하지 않아 통제가 쉽고,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적혈구는 붉은 색소를 포함하고 있어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도 쉽다. 적혈구를 이용하는 면역 실험은 지금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라인 따라 요리조리! 내가 만드는 로봇, 라인 트레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적외선이 바닥에 부딪혔다가 얼마나 반사되어 돌아오는지 포토 트랜지스터로 그 양을 측정해 라인을 인식하는 거예요. 검정색인 선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반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요. 이 원리로 로봇은 밝은 배경과 어두운 선의 경계를 파악해 길을 인식하고 움직인답니다. 외로운 섭섭박사님을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추정할 수 있다. 이는 계통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조상이 만들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계산법에 따르면 변이가 가장 빠른 바이러스는 HIV와 C형 간염바이러스로 추정된다. 바이러스 고유의 돌연변이 발생 속도를 계산하면 바이러스 균주가 언제 분리됐는지 예측할 수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도시가스 사용량 예측한다고?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검침기 고장이나 오류 등으로 도시가스 사용량을 잘못 측정한 경우 사용료를 어떻게 내야 할까요? 5월 25일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이하 수리연)는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해 각 세대의 도시가스 사용량을 예측하는 문제에 우수한 해결 방안을 제안한 3팀을 선정해 시상했습니다.수리연은 집단지성을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따른 물의 순환 상태를 알 수 있는 방정식이다.하지만 토양의 습도 변화와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게 까다로워,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가뭄 지표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최근에 많이 쓰이는 지표는 ‘파머가뭄지수(PDSI)’로 기후적으로 필요한 강수량과 실제 강수량을 비교해 가뭄의 정도를 수치로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특정 환경에 노출한 뒤 활성화된 바이러스의 양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더니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표면에서는 2~3일이 걸렸고, 택배 상자 같은 종이 박스에서는 24시간이 걸렸다.바이러스가 살아있는 시간을 단축해 감염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구리 표면에서도 ... ...
- 문화재, 실시간으로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 장치로 문화재 기둥의 기울기 변화, 균열, 미세한 진동, 주변 날씨 정보를 24시간 측정해요. 이 정보는 실시간으로 안전관리 상황실과 관리자에게 보내져요. 상황실에서는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위험한 정보라고 판단되면 출동해 문화재를 지키지요. 강원도청 홍민오 주무관은 “정보가 ... ...
- 조금 이른 고래 올림픽 가장 날쌘 고래는?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지느러미키스 무어드 미국 리하이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항공기 날개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식을 도입해 고래 꼬리 지느러미의 효율성을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했어. 이렇게 구하는 이유를 비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해볼게. 비행기가 하늘에 떠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날개의 아래(고기압 ... ...
- 더워지는데, 등교하는데… 코로나19 언제 멈출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혈병과 담황색의 투명한 액체인 혈청으로 나뉜다. 혈청 검사의 목적은 감염 진단과 면역 측정이다. 감염자의 혈액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는데, 혈청 검사는 항체를 검출해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지 확인한다. 항체는 면역계를 이루는 단백질(면역글로불린·Ig)로 다섯 종(IgM, IgG, IgE, IgA, ... ...
- 신상 콤부차 대해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콤부차를 줬다. 그리고 간염의 정도를 알려주는 대표적 표지인 간세포 내 효소(ALT, AST)를 측정했다. 수치가 낮을수록 간이 덜 손상됐다는 뜻이다. 실험 결과, 콤부차를 마신 쥐는 ALT는 70.15%, AST는 71.56% 수준으로 모두 감소했다. doi: 10.4014/jmb.0806.374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콤부차의 효능을 확인한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