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d라이브러리
"
해저
"(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느리다.복의 배가 풍선처럼 부푼 모양은 참으로 우스꽝스럽다. 그것은 적을 위협하거나
해저
의 모래를 불어 일으켜 먹이를 잡기 위해서라고 한다. 또 독특한 것은 눈을 감았다 떴다 할 수 있다. 보통 바닷 고기는 그것이 될 수 없는데 복은 눈꺼풀에 해당되는 부분에 많은 주름이 있어 사진기의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대략 5.5㎝/년의 속도로 서로 엇갈릴 때 지각이 깨어지며 생긴 것이다.판은 약권의 물질이
해저
산맥에서 지표로 분출되어 만들어지며 다시 주로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해구(海溝)에서 맨틀 속으로 비스듬히 내려간다. 그러다가 대략 7백㎞의 깊이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에 의하여 딱딱한 물성(物性)을 ... ...
날로 늘어나는 자력선치료기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자연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렇지만 지자기가 항상 고정불변의 것은 아니다.
해저
맨틀의 자성을 조사해보면 수백년마다 지자기의 N·S극이 바뀌거나 강도가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연구에 의하면 과거 5백년 동안 지자기는 약 반으로 줄었으며 최근 1백년 간에는 약 5%씩 감소했다고 한다.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적응하게 되었을까'라는 문제를 제기케 한다. 호수에는 1천6백m의 수압에 적응된
해저
서식 어류와 열대지방 해양에서 익히 볼 수 있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 해면 동물류를 포함해서 약 2천5백종의 토착종이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것들로서는 호수의 신비함을 다 설명하지는 못한다. 가까이 ... ...
강력한 시력장해 교정렌즈 나올듯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모델이 되었기 때문이다.'워켄'교수에 의하면 코피리아의 암컷이 가지고있는 어두운
해저
에서 대상물을 보는 능력은 그 독특한 감각조직구조에 의한것이라는것. 그러나 수컷 코피리아는 오랜 옛날에 물체를 보는것을 포기하여 현재는 완전히 눈이 퇴화되어있다.워켄교수가 연구하고 있는 시력장해 ... ...
태평양
해저
에서 이상한 빛을 발견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해저
의 어떤 뜨거운 물질이 적외선을 낼수 있기 때문에 생긴 빛이라는것.이밖에도
해저
에서 여러 가지 물질반응이 일어나는 가운데 빛이 생길수 있다는 설명도 첨가되었다. 그러나 어떤 설도 충분치못해 '우즈홀' 해양연구소는 본격조사를 시작하기로 했다 ... ...
PART2 바싹 다가선 하이테크 스포츠시대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새로운 것, 새로운 기록에 대한 인간의 탐구와 노력은 끊임이 없다는 것이다. 인간은
해저
의 어둠과 압력에 대항하며 지구의 가장 깊은 곳으로 알려진 대양의 구렁으로 내려갔다. 또 지구에서 가장 높이 솟아 있는 정상에 올랐고, 우주공간을 횡단하는 모험을 하고 있다.인간의 도전은 여기 그치지 ... ...
북해에서 물개 2천여마리 떼죽음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1억4천5백만톤에 달하며 상당량의 비소 카드뮴 수은 방사능물질을 포함한다. 게다가
해저
유전이 있으며, 수심이 얕고 육지에 둘러싸여 있어 배출량이 유입량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여건도 해양오염을 가중시켜 준다.그 결과 과거 북해 주종 어류였던 연어 철갑상어 굴 가오리 등이 점차 자취를 ... ...
미국과 일본의 하이테크경쟁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접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반도체레이저의 개발자임에도 불구하고 대서양 횡단
해저
케이블용 반도체레이저를 일본의 히다치로부터 구입했다는 것은 아리러니가 아닐 수 없다.미국이 부족한 것은 얼마나 지속적인 열의를 갖고 산업적인 노력, 구체적으로는 민생부문의 상품화에 ... ...
심한 육체적 고통속에서도 보람을…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그래서 연구원들과 조사선의 칠레선원들이 합심하여 1백여m의 밧줄을 인력으로 끌어당겨
해저
퇴적물의 시료를 채취했다. 또 해양생물 채취용 봉고넷트도 사람들을 동원해 끌어당겨야만했다. 그외에도 전자기기들은 장거리 운반과 습한 기후 등으로 잦은 고장을 일으켰다. 그래도 오랜 경험을 가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