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환
유통
구르기
윤전
선회
대출
대전
d라이브러리
"
회전
"(으)로 총 2,35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않은 어느 장소에서, 허물어져 가는 집을 보수하고, 무한하게 반복될 것 같은 밤하늘의
회전
을 멍하니 감상하며 살고 싶었다. 하지만 내 연봉으로는 그 정도의 자원과 기회를 확보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나는 전역을 앞두고 개미굴 네트워크를 미친 듯이 검색했고, 그 결과 등대지기 자리를….고독을 ... ...
[수학뉴스] 초콜릿 분수에 수학이?!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이 원리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회전
하는 주요 원인은 표면장력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유럽물리학회지’ 2015년 11월 25일자에 실렸습니다. 초콜릿 분수에도 수학이 숨어 있다는 사실이 정말 놀랍지 않나요? 하지만 명심하세요.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하고,
회전
은 말 그대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하는 것을 말한다. 반사는 거울대칭을 말하고 미끄럼반사는 앞서 말한 평행이동과 반사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뜻한다. 이 네가지를 기본으로 평면을 채우는 경우를 세어 보면 총 17가지의 경우의 수가 나오게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교수가 독립적으로 각각 발견한 대칭 벤다이어그램 이후 두 번째로 발견한 집합 7개의
회전
대칭 벤 다이어그램이다. “예술가인 아내와 함께 만들었죠!” 피터 햄버그집합의 개수가 소수일 경우 대칭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는 사실이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0번 이상 위치 정보를 측정해요. 세그웨이는 이러한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바퀴를 앞뒤로
회전
하면서 계속해서 균형을 유지한답니다.후보3 나 혼자 탄다! 초소형 전기차세 번째 후보는 혼자 타는 ‘초소형 전기’야. 초소형 전기차는 일반승용차의 3분의 1 정도 크기로 작고 가벼워. 가장 작은 ... ...
[공지]전국 주요 과학관 무료 입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제자리에서 상승하고 저속으로
회전
하면 하강을 한다.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프로펠러
회전
속도를 줄이면 기체가 그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이동을 한다.나도 얼마 전에 드론을 샀는데, 드론의 과학적 원리를 알게 되니 드론이 더 신기하고 멋지게 느껴진다 ... ...
[News & Issue] 그물 쳐 드론 잡는 ‘안티 드론’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falconry)’이라는 제목으로 1월 3일 유튜브에 새로운 드론을 공개했다. 영상을 보면 6개의
회전
날개로 비행하는 드론이 그물을 발사해 12m 떨어진 거리의 상대방 드론을 포획한다. 라스트가 교수는 이 포획용 드론을 테러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반면, 여자들은 연상기억법, 즉 ‘미용실을 지나서 직진하다가 가게가 나오면 우
회전
’하는 방식으로 길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해마는 기본방향 인지와 관련된 뇌부위다. 핀츠카 연구원은 “과거 남자들이 주로 사냥을 하고 여자들은 채집을 했던 것이 뇌에 다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1970년대에 밝혀냈다. 하지만 만유인력 법칙에 따르면 은하 주변부로 갈수록 별들의
회전
속도가 느려져야 한다. 따라서 이를 설명하려면 직접 관측되지 않은 질량이 있어서 중력의 효과를 줘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우리는 이것을 암흑물질이라고 부른다. 연구 결과 암흑물질은 단순한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어렵다. 사람이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높이는 사람 키의 절반 정도로 그리 높지 않고,
회전
하는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화면이 바닥에 부딪히며 떨어질 확률이 더 높다. 매튜스 교수는 “사람들은 이것을 머피의 법칙이라 생각하지만 여기에는 물리학적인 근거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