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만들 때부터 자연에 덜 미안하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될 수 있다. 화장품 회사가 왜 이렇게까지 ‘왜 이렇게까지…’에 대한 답을 구하려 7월 11일 아로마티카 본사를 찾았다. 그곳에서 만난 김영균 아로마티카 대표는 “내 가족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화장품을 만들겠다는 사명감으로 달리다 보니 여기까지 왔다”고 했다.2004년 아로마티카를 ... ...
- 누리호 발사 성공 다음은 달이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네이처’는 6개국의 달 탐사를 다루며 한국 다누리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기도 했다. 7월 5일 다누리는 특수 컨테이너에 실려 인천공항으로 이송됐다. 이틀 뒤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캐너배럴 우주군기지 발사장에 도착했다. 여기서 다누리는 약 한 달 동안 연료주입, 발사체 결합 등의 과정을 거쳐 ... ...
- [Bridge]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위원장을 맡게 됐다. 정부가 추진하는 반도체학과 증원 정책에 관한 생각을 묻기 위해 7월 12일 양향자 의원을 찾았다. Q. 증원 논란이 뜨겁다. 반도체 정책이 왜 중요한가.반도체는 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존립의 문제다. 삼성전자처럼 시가총액이 100조가 넘는 기업이 2~3개만 더 있어도 1인당 ... ...
- [필즈상 인터뷰 ➊] 허준이 교수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전인 6월 15일 허 교수와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고, 시상식이 열린 핀란드 헬싱키에서 7월 4~5일 만나 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필즈상 인터뷰 ➊] 허준이 교수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Part1. [필즈상 수상 소감] “낯설고 무게감 느껴져요”Part2. ...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명단을 보내 달라는 것이었지요. 이런 자료 요청에 대응하는 지난한 과정을 거쳐서, 2007년 6월 말에 한국의 IMU 국가 등급 2단계 상향이 결정됐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훨씬 높은 수준의 정밀조사를 받으면서 유럽 국가들의 한국 수학 수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캐나다와 ... ...
- [킹앤카] 소수의 아름다움을 연구한다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정수 중에서도 약수가 1과 자기 자신밖에 없는 수를 ‘소수’라고 해요. 예를 들어 2, 3, 5, 7, 11 등이 소수이지요. 무한한 정수처럼 소수도 무한하다는 것은 이미 증명됐어요. 그린-타오 정리는 이렇게 무한한 소수를 ‘등차수열’로 표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요. 등차수열이란 2, 4, 6, 8, 10 혹은 1, 4, ... ...
- [취미코딩] 과학동아 독자가 좋아하는 게임은?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분석해 봅니다. 코딩을 전혀 몰라도 참여할 수 있으니, 부담 없이 시작해 보세요. 7월 18일 현재 브론즈 티어에 206명, 실버 티어에 29명이 참가 중입니다 ... ...
- [생태관광] 지역주민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여행을 고민합니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유부도4 정읍 월영습지와 솔티숲5 고창 고인돌·운곡습지6 무등산 평촌 명품마을7 신안 영산도 명품마을8 순천 순천만9 완도 상서 명품마을10 제주 동백동산습지11 제주 저지곶자왈과 저지오름12 서귀포 효돈천과 하례리13 철원 DMZ 철새평화타운 및 철새도래지14 양구 DMZ15 인제 생태마을(용늪)16 강릉 ...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점은 갓 개미에 입덕한 뉴비들에겐 장벽이 되기도 합니다. 숲곰개미 님이 활동을 시작한 17년 전은 아직 국내에 개미 관련 커뮤니티가 형성되지 않은 시점이었습니다. 그는 “처음에는 일본 사이트를 번역해가며 정보를 찾거나 개미를 연구하는 대학원생 형들에게 문자로 질문해 궁금증을 ... ...
-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애기장대를 키우기 위해 연구팀은 아폴로 11호(1969년), 아폴로 12호(1969년), 아폴로 17호(1972년)가 가져온 겉흙을 이용했다. 같은 달이라도 지역에 따라 흙의 성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아폴로 11호가 착륙했던 장소는 유독 우주방사선 노출이 많은 지역이다. 각 식물을 키우는 데 쓰인 달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