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학자"(으)로 총 6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0325
- 깐깐하기로 소문난 이탈리아의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가 소리 소문도 없이 한국에 도착했다. 이유는 단 한 가지. 보물 제561호인 금영측우기가 감쪽같이 사라졌기 때문! 고르리는 도착하자마자 썰렁홈즈를 찾아갔다.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7호(2011년 4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10310
- 어우~, 더워! 왜 이렇게 더운가 했더니 화산에서 입고 있던 방열복을 아직까지 안 벗고 있었구나? 방열복은 섭씨 수백 도를 오르내리는 화산을 탐사하는 데 필요한 필수품이거든. 휴~, 갈아입으니 시원하구나! 참, 내 소개를 해야지? 안녕? 나는 그 이름도 유명한 화산학자‘인디아나 쭌스’라고 한단다.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00430
- 두근두근~, 드디어 우리가 손꼽아 기다리던 그 날이 왔어. 무슨 날이냐고? 우주를 보는 ‘거대한 눈’을 만날 수 있는 날! 바로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한국 최대 광학망원경과 태양망원경을 만날 수 있는 날 말이야.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31
- 이로 막대기를 물어 보세요. 그리고 똑같이 ‘어린이과학동아’를 읽어 보세요. 두 경우 중 어느 때 더 재미있게 읽었나요? 심리학자들이 실제로 수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해 본 결과, 똑같은 만화라도 막대기를 이로 물고 봤을 때 재미있다는 대답이 더 많았다고 해요. 입술에 닿지 않게 이로 물면 얼굴이 웃는 모양이 되기 때문이에요. 우리 뇌는 ...
- 후끈후끈~, 동물들의 겨울나기 비법(2)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목숨을 잃게 될지도 몰라. 물론 아직까지 기후변화가 우리의 이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없어. 하지만 많은 학자들이 기후변화가 우리에게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 예측하고 있어. 도와 주는 건 고마운데… {BIMG_c10}가끔 산을 돌아다니다 보면 사람들이 우리를 위해 놓고 간 먹이가 있어. 겨울은 식량을 구하기 힘든 계절이라 ...
- 깨끗할수록 덜 엄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될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소제시작]시간여행을 하고 온 초신성[소제끝] 아름다운 모습의 이 초신성은 16세기에 티코 브라헤라는 천문학자에 의해 관측되었던 것으로, ‘티코의 초신성’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어요. 그런데 400년이나 지난 오늘날, 이 초신성에서 분출된 빛 중 일부가 다시 관측되었어요. 우주의 먼지에 반사되면서 뒤늦게 지구에 도달한 ...
- 물고기도 여론을 따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127
- 곳곳을 돌아다니며 나비를 관찰하고 표본을 수집해 나비를 분류했어요. 그러는 동안 나비 분류학 관련 논문을 120편 발표했고, 외국 학자들이 잘못 이름붙인 우리나라 나비의 이름 800여 개를 바로잡았지요. 그 결과 현재 우리나라 나비의 70%가 제가 지은 이름을 갖게 되었답니다. 와! 정말 대단하세요! 박사님의 연구는 오늘날 나비 연구에도 많은 ...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식재림 리기다소나무, 북쪽 지방의 가문비나무. 현장! 백두대간 백두대간 능선은 식물이 다양할까? {BIMG_c11} 백두대간을 조사하는 식물학자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은 백두대간의 식생이 저지대보다 결코 다양하지 않다는 사실! 생태계의 보고라는 예상과 다르지만 백두대간의 환경이 나빠서 일어난 일이 아니므로 안심해도 된다. 백두대간의 고지대는 저지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탐사한 NASA가 이를 숨기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19세기에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지오바니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표면에서 관측한 ‘줄무늬’를 잘못 이해한 미국의 퍼시발 로웰은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주장했다. 로웰 외에도 화성에 생명체가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많았다. 20세기 초의 전기기 ...
- “와글와글~!” 시끄러워지는 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이렇게 파도에도 적용되다니 정말 흥미롭군요. 앞으로 활동 계획도 말씀해 주세요. 메타물질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어요. 과학자들은 메타물질 내부에서 빛이 휘는 원리를 이용하면 빛을 저장하는 장치를 만들 수도 있고, 더 빠른 컴퓨터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어요. 앞으로 메타물질의 활약을 기대해 주세요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