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국제통화기금
기금
통화
뉴스
"
국제학술대회
"(으)로 총 673건 검색되었습니다.
12월 1일 세계 에이즈의 날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12.01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라텍스 콘돔이다. 그런데 정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아프리카 여성들은 콘돔을 쓰기가 어렵다. 남성의 콘돔 사용률이 저조한 데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 콘돔 없는 위험한 성관계를 거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과학자 ... ...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2016.11.04
DNA 교정기술인 ‘크리스퍼(CRSPR/Cas9) 유전자 가위’를 최초로 개발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감염생물학과 총괄책임교수(독일 훔볼트대 명예교수). 샤르팡티에 교수는 지난달 12~14일 열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에 기조강연 연사로 초청돼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 ... ...
‘원자선’ 분야 석학… “1nm이하 무오류 반도체 개발 목표”
2016.09.08
염한웅 교수 제공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어느 순간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남들보다 더 깊이 오랫동안 연구해야 나오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유행을 좇지 않고 20년간 한 분야를 꾸준히 연구해 온 끈기에 대한 격려로 생각하겠습니다.” 인촌상 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염한웅 포스텍 ... ...
방사선 피폭량 4분의 1로 줄인 CT 기술 개발
2016.08.19
‘컴퓨터단층촬영(CT)’의 방사선 피폭을 4분의 1 이하로 줄이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예종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저선량 CT로 찍은 의료 영상을 고화질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CT는 환자의 몸속 단면을 촬영할 수 있어 의료 검사 ... ...
한국형 ‘고든리서치 콘퍼런스’ 열린다
2016.08.06
기초과학연구원(IBS)이 국내 최대 규모의 기초과학 학술 대회인 ‘IBS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IBS 콘퍼런스는 ‘과학계의 다보스 포럼’으로 불리는 ‘고든 리서치 콘퍼런스’를 벤치마킹해 전 세계 최고 석학들과 심층 학술 토론을 벌이는 등 ‘한국형 고든 콘퍼런스’로 열린다. IBS 콘퍼런스 ... ...
[과총 50주년]13~14일 ‘세계과학기술인대회’ 개최
2016.07.08
1971년 10월 28일 개최된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신축 기공식.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명시할 과학기술진흥법 제정, 과학기술인 처우 개선, 과학기술회관 건립, 그리고 과학기술 전담 부처 설치. 50년 전인 1966년 9월 24일 국내 과학기술계를 대표하는 단체인 한국과학기 ... ...
고성능 그래픽프로세서(GPU)를 위한 3대 기술 개발
2016.06.30
국내 연구진이 고성능 컴퓨터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그래픽프로세서(GPU)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노원우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GPU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주요 기술 3가지를 개발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GPU는 그래픽을 처리하는 장치로 고화질 그래픽은 물론 사 ... ...
주식·집값 99% 정확히 예측하는 AI 시스템 개발
2016.06.28
reynermedia(F) 제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최재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사진)팀은 주가, 환율 등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다중 시계열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해 보고서를 작성해 주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인 ‘관계형 자동 통계학자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데이터군에 공통 ... ...
“암흑물질 탐색 중심에 있는 韓과 경쟁 대신 협력하겠다”
2016.06.20
아닌 협력 관계입니다.” 20~24일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열리는 암흑물질 분야 최대
국제학술대회
인 ‘제12회 파트라스 워크숍’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소속의 콘스탄틴 지우타스 그리스 파트라스대 입자물리학과 교수는 20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이처럼 말했다. ... ...
이런 스승 또 없습니다…“노벨상은 뛰어난 제자들 덕분”
2016.05.20
받을 수 있었습니다.” 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6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
’ 기조강연차 한국을 처음 찾은 윌리엄 머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63)를 만났다. 그는 요즘 대부분의 대학 생물학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개발한 공로로 2014년 노벨 화학상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