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뉴스
"
근처
"(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정밀 수술로봇 '닥터 허준' 전임상 최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고개를 같은 방향으로 돌렸다. 모니터에는 카테터 끝 카메라가 보고 있는 디스크
근처
모습이 환하게 보였다. 신 교수가 “꼭 게임을 하는 것 같다”며 웃었다. 이 기기는 디스크 등 미세한 영역 수술에 특화된 수술로봇시스템 ‘닥터 허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과 세브란스병원, ... ...
달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0
포인트는 두 천체의 중력이 평형을 이루어 중력이 0에 가까운 지점이에요. 지구와 달
근처
라그랑주 포인트에 위성을 띄우면 어느 한 쪽으로 추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지요. 하지만 아직 달의 뒷면에는 전파를 보낼 수 있는 장비가 없어요. 이에 중국은 올해 12월, 달의 남극 뒤쪽으로 ... ...
따뜻한 지구가 낳은 괴물 '슈퍼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0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태풍의 바깥쪽에서는 비교적 적은 양의 비가 내리고, 중심
근처
에서는 폭우가 내린답니다. 이런 예측을 토대로 강수 수준에 맞는 대비책을 적절히 세워 태풍 피해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지요. 인공지능이 예측한 태풍의 경로. - hurricane.dsig.net 제공 NASA의 마셜 ... ...
붉은불개미 살충제 살포 해결책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포함된 남은 한 조는 항만 외곽 순찰에 나섰다. 류 교수는 “항만의 외곽 둘레 철조망
근처
에도 흙더미가 있고 풀이 자라고 있다”며 “사람이 버린 쓰레기가 먹이감이 되어 개미가 생활하기 좋은 환경”이고 말했다. 컨테이너를 타고 들어온 붉은불개미가 곧바로 집을 지을 수 있는 최적의 장소 ... ...
토마토도 프로바이오틱스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NGS)로 한꺼번에 분석하는 ‘메타게놈’ 분석법을 이용해 하와이 7996 뿌리
근처
에서 특히 많이 사는 미생물의 게놈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김 교수팀은 이렇게 확인한 풋마름병 발병 억제 미생물에게 ‘TRM1’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 미생물을 배양하는 데에도 도전했다. DNA 정보만으로도 ... ...
지구사랑탐사대 어벤져스 '앤트맨'과 함께 숲속 개미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05
시작한 지난 9월 1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동민수 연구원과 함께 춘천 김유정역
근처
에 있는 작은 산속으로 향했어요. 이곳에 숨어 있는 작은 개미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서였지요. 지구사랑탐사대의 첫 개미 탐사에서 대원들은 어떤 개미들을 만났을까요? 개미를 찾고 있는 지구사랑탐사대 ... ...
“뒤뚱뒤뚱 펭귄? 물속선 200m까지 나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국내 유일의 펭귄 행동생태 연구자다. 극지연구소에 합류한 2014년부터 남극 세종기지
근처
펭귄 번식지에서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의 행동을 관찰하고 있다. 9월 말에는 4년간 남극 현장에서 보고 연구한 펭귄의 이야기를 담은 책 ‘물속을 나는 새’(사이언스북스)를 펴냈다. 이 책 이전에도 그는 ... ...
홍채로 신원 확인… 이르면 2020년부터 여권 없이 비행기 탄다
동아일보
l
2018.10.01
퍼스트 라운지와 비즈니스 라운지도 동쪽으로 이전한다. 1일부터는 11번과 26번 게이트
근처
에서 라운지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올 1월 인천공항 2터미널이 개장한 뒤 대한항공이 이전하면서 공간을 재배치할 수 있게 된 데 따른 것이다. 1터미널 내 A, B, C카운터는 지난해까지 대한항공이 이용했다.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붉은 단풍은 특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6
점이다. 타감물질은 다른 식물의 생존을 막거나 저해하는 화학물질로, 단풍나무
근처
에 다른 식물들은 거의 살지 않는다. 마지막은 해충을 막기 위해서다. 토마스 되링 영국 임페리얼컬리지런던대 박사팀은 진딧물이 노란색 잎보다 붉은색 잎에 6배나 적게 몰려드는 것을 확인했다. ... ...
“날씨만큼 예측 어려운 대규모 지진… 지반상황 파악해 피해 최소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9.21
향후 100년 내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가 이
근처
에 있다.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 지반이 모래와 자갈로 이뤄진 데다 지표면 아래의 지질구조가 세숫대야 모양처럼 움푹 파여 지진 발생 시 땅이 가라앉을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차이 교수는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