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깐
잠시
뉴스
"
짧은시간
"(으)로 총 1,137건 검색되었습니다.
메이저 학회서 전기에너지 관련 논문상 수상 UST 배정수 학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배정수 학생이 상장을 들고 포즈를 취했다.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의 한국전기연구원 캠퍼스 전기물리연구센터 소속 배정수 학생이 펄스파워 분야 세계 3대 학회 중 하나인 ‘2019 펄스파워 및 플라즈마 과학 콘퍼런스(PPPS)'에서 ’아웃스탠딩 스튜던트(Outstanding Student) ... ...
[주말N수학] 수학자 힐베르트 17번 문제, 자율주행차 안전 문제를 해결하다
수학동아
l
2019.07.06
최근 자율주행차의 성능을 지금보다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1900년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가 발표한 문제를 활용한 것이어서 놀랍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율주행차라고 하면 가장 먼저 '차 안에 앉은 사람이 운전대에 손을 얹지 않고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는 장면'이 떠 ... ...
[뉴스페이스의 개막]더 싸고,더 발빠르고,더 도전적인 기업들의 전성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가 세계 최초 민간우주화물선 '드래건' 앞에 서 있다. EPA/연합뉴스 우주개발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정부에서 민간으로 이른바 ‘뉴스페이스’ 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뉴스페이스 시대란 정부 주도의 우주개발에서 벗어나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생태계를 지칭한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 구성원들이 대전 유성구 한국기계연구원에 위치한 연구실 건물에서 포즈를 취했다. 세상에 없는 물성을 지니는 메타물질을 설계하고 있다. 사진 제공 홍덕선 작가 주사위 모양의 말랑말랑한 물체를 누른다고 해보자. 아래로 납작해지면서 옆으로 볼록 튀어나올 것이다. ... ...
지속적인 운동으로 생긴 장내미생물이 운동능력도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에게는 젖산을 분해하는 효소를 만드는 장내미생물이 풍부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에게만 풍부한 장내미생물이 발견됐다. 이 장내미생물은 특히 운동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알렉산더 코스틱 미국 하 ... ...
日연구진, PCR보다 증폭력 수십배 DNA 증폭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게티이미지뱅크 몇시간 안에 DNA를 수백만배로 증폭가능한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DNA 증폭 기술인 PCR(중합효소연쇄반응) 방식보다 짧은 시간 내에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DNA 관련 연구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14일 도쿄공업대에 따르면 코미야 켄 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L-Team ... ...
스마트폰이 말했다 "눈 감고, 명상 시작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이용자 뇌 활동-기억력 개선 검증 연구 활발 효과는 여전히 과학적 논란 명상 효과를 과학으로 증명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사진은 노르웨이과학기술대와 오슬로대가 공동으로 병원과 연구하는 명상 관련 연구 중 rMRI 이미지.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제공 저명한 예방의학자인 수전 블룸 뉴욕 ... ...
국내 연구진, 불규칙한 입자 운동 명쾌히 설명할 공식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성재영(왼쪽) 중앙대 화학과 교수와 김지현(오른쪽) 세포화학동력학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포환경과 같은 복잡 액체에서도 일관되게 성립하는 분자들의 수송방정식을 발견했다.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 이론이나 그 후 등장한 많은 이론들로도 풀 수 없었던 현대물리학의 난제를 해결했다. 한국 ... ...
국내연구진, 망막사진으로 12가지 안과질환 진단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안과에서 촬영한 망막 안저 사진(왼쪽)과 분당서울대병원과 서울시립보라매병원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AI로 질환을 찾아낸 결과 이미지(오른쪽).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망막 안저를 촬영한 이미지를 보고 12가지 안과 질환을 진단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박상준 분당서울 ... ...
태양질량보다 1만 배 무거운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우종학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연구팀은 지구로부터 1400만광년 떨어진 왜소은하 'NGC 4395'의 중심 블랙홀이 태양 질량의 약 1만 배임을 밝혀냈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블랙홀 기원의 중요한 단서가 될 왜소은하의 중심 블랙홀이 최초로 확인됐다. 지금까지 발견되던 '거대질량 블랙홀'이 아닌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